[웅도 경북, 천년을 비상하다] ③한반도 허리경제권 경북이 진두지휘

입력 2016-03-22 22:30:02

동서 균형발전 경북이 구심점

신도청 연지
신도청 연지

박근혜 대통령이 경북의 균형 발전과 새로운 도약을 정부가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는 약속을 한 이후 신도청시대를 새롭게 꿈꾸고 있는 경북의 균형 발전 전략이 힘을 얻고 있다.

그동안 경북도가 꾸준하게 추진해 온 국가 발전을 위한 지방정부 역할론이 도청 이전과 함께 '한반도 허리경제권'이라는 이름으로 구체화, 국가 개발 어젠다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경북도, 대통령 방문 후속 조치에 분주

경북도 신청사 개청식에 참석한 대통령은 이례적으로 경북 발전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권역별 균형 발전 전략', '전통문화 보존과 문화융성', '새마을운동 세계화'는 물론, 경북도가 심혈을 기울여 온 '한반도 허리 경제권' 육성에 대해서도 직접 언급하며 힘을 실어줬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김현기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후속 추진단을 구성하고, 5대 핵심 과제에 대한 실행 전략을 마련해 내년도 국비 확보 등에 적극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경북도는 우선 도청 신도시와 세종시를 잇는 107㎞에 달하는 고속도로 사업을 내년도 국가 예산에 반드시 반영시키기로 했다. 이 사업은 2012년 충북'충남과 공동 추진하기로 협약하기도 했으며, 현재 국토연구원을 통해 기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대통령 방문으로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문화융성 사업들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선 공약인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은 발굴 인력을 확대하고 속도를 높이기 위해 문화재청 산하 추진사업단의 확대도 추진한다. 아울러 '2017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 개최에 따른 국비 확보에도 팔을 걷어붙인다.

그동안 경북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왔던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도 주목된다. 경북도는 지방비로만 추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정부에 국비 지원을 제도화해 달라는 요청을 해놓고 있다. 정부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경북도가 줄기차게 주장해 온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가 큰 힘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다. 정부도 이 사업은 경북만의 특화된 사업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지원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안병윤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대통령이 제시한 전략들은 국정 방향인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천 계획이다. 추진을 위한 TF팀을 구성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지역발전으로 연결시키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반도 허리경제권' 사업 추진 급물살

박근혜 대통령이 개청식 축사를 통해 직접 언급하며 의미를 부여하는 등 '한반도 허리 경제권'을 정부가 공식 인정하면서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고 있다. 경북도는 이에 따른 '한반도 허리경제권'사업의 구체적 실현 계획 추진에도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박 대통령은 "경북도청 신청사를 중심으로 환동해권과 환황해권을 하나로 잇고, 수도권과 남부경제권을 연결하는 '한반도 허리 경제권'을 활성화시켜 나간다면, 사통팔달의 강력한 '동서 성장축'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경북이 창의적인 발전 전략을 수립해 국가 경제의 새로운 발전을 선도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한반도 허리 경제권'은 경북도가 도청 이전을 계기로 북위 36도에서 만나는 세종시를 비롯한 충청'강원권과 연계해 국토의 새로운 동서 발전축을 만들겠다는 것이 골자다. 이는 지금까지 남북 위주의 국토 성장 전략에서 탈피해 동서축의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아울러 수도권과 남부경제권으로 양분된 국토의 통합적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유용한 전략이다.

이러한 발전 구상은 2014년 김관용 경북지사의 민선 6기 공약으로 처음 제시됐다. 그때만 해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김 지사는 포기하지 않고 줄기차게 주장했다.

충청'강원권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조만간 경북은 대전, 세종, 강원, 충북, 충남과 구체적인 협의에 들어간다. 벌써 물밑 작업도 상당히 진행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청 이전, 대한민국 중심부 진입과 역할

경북도는 한반도 허리 경제권과 관련, '바이오 융복합 신산업 벨트'와 '국가 미래 농생명 벨트', '미래형 시스템 반도체 밸리', '문화 ICT 융복합 신산업 벨트', '국가 스포츠 산업 밸리' 등 5대 사업을 추진한다.

'바이오 융복합 신산업 벨트'는 한반도 허리 권역을 세계적인 바이오산업의 허브로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오송의 '바이오 밸리', 옥천의 '의료기기 밸리', 충남의 '동물약품 R&BD센터', 대전의 '암의학 융합단지', 경북의 '첨단 바이오'백신산업 클러스터', 강원의 '첨단의료기기산업 클러스터'를 묶어서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는 것.

'국가 미래 농생명 벨트'도 한반도 허리 권역이 강력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이 지역이 국내 최대의 농업 특화지역이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이러한 강점을 활용해 '종자산업 클러스터', '의농 플랫폼', '유기농산업클러스터' 등을 구상하고 있다.

'미래형 시스템 반도체 밸리'도 신성장 산업으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하다. 메모리 반도체에 편중된 우리나라 산업구조에서 시스템 반도체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팹리스 반도체 산업지원센터', '팹리스 반도체 전문기업 플라자', '차세대 반도체 중소기업 집적단지' 등이 세부사업으로 검토되고 있다.

'문화 ICT 융복합 신산업 벨트'는 문화와 첨단기술을 접목해 신산업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안동의 '세계 문화유산 3D체험단지', 충남의 'ICT융합 문화콘텐츠센터', 대전의 '족보박물관 아카이브' 등이 주요 검토 사업이다.

한반도 허리 권역은 스포츠의 메카다. 특히, 지난해 경북 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러낸 후 이 지역의 스포츠 인프라가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문경의 국군체육부대, 강원 태백 국가대표 선수촌, 충북 진천 국가대표 선수촌이 바로 그것이다.

경북도가 구상하고 있는 '국가 스포츠산업 밸리'는 이를 삼각축으로 묶어 새로운 스포츠 산업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전략이다. 문경은 스포츠용품 및 장치 집적 단지로, 태백은 스포츠관광 단지로, 진천은 스포츠 웰리스 집적 단지로 특화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도청 이전은 경북이 대한민국의 중심부로 진입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앞으로 '한반도 허리 경제권' 육성을 바탕으로 다시 한 번, 경북을 대한민국 발전의 중심에 세우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