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혁신도시 공공기관들의 지역인재 채용 노력이 기대에 한참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대구혁신도시 공기업 및 공공기관 12곳 가운데 9곳의 지역인재 채용 현황을 보면 전체 신규 인력 449명 중 대구경북 등 지방 출신은 109명에 그쳐 평균 24%에 지나지 않았다. 그나마도 계약직이 40%를 넘는 등 고용의 질도 떨어져 지역인재 육성은 말 그대로 빛 좋은 개살구 꼴이다.
정부는 2014년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공공기관의 경우 신규 채용 인원의 일정비율 이상을 지역인재로 채용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제13조)는 점을 명시했다. 이에 근거해 정부는 공공기관 신규 인력 채용 시 지역인재 할당(35%) 가이드라인을 가급적 지키도록 했다. 그럼에도 해당 기관은 관련 조항이 권고사항인데다 지키지 않아도 불이익이 없다는 점을 들어 지역인재 채용에 소극적이다.
가스공사'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지역인재 비율은 낮지만 정규직으로 전부 채용하거나 한국교육학술정보원처럼 1년 계약직이 87%에 이르지만 신규 54명 중 31명을 지방대 출신으로 뽑는 등 노력하는 기관도 있다. 하지만 상당수 공공기관이 이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은 매우 유감이다.
공공기관마다 지방 출신 채용 확대에 있어 말 못할 사정이 있을 수 있다. 정부 차원의 일률적인 지침이 없어 고용노동부'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고, 수도권 대학 출신 역차별 논란도 의식해야 하는 처지도 이해한다. 그러나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대한 법 제정 취지에서도 드러나듯 이는 국민에 대한 약속이자 시대의 흐름이다.
그럼에도 대다수 공공기관이 신규 인력의 10~20% 정도만 채우고 나 몰라라 하는 것은 실망스럽다. 지방에 둥지를 틀고 뿌리를 내려가는 이상, 보다 과감하게 지역인재 육성에 발벗고 나서야 한다. 지역민도 과도한 기대나 성급한 요구보다 공공기관이 지역인재를 더 많이 뽑도록 환경을 차츰 만들어나가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는 관련 법 조항을 빨리 손질해 지역인재 채용을 의무화하고 비율도 50% 이상으로 단계적으로 늘려나가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