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이 멘 명품가방.
新 등골브레이커로 등극한 학용품.
새 학년, 새 학기가 시작돼 설렘 가득한 3월. 하지만 신학기 아동용 학용품 지출 비용 평균 63만 8천 원(출처 : 교육업체 윤선생 설문조사 자료).
아직 명품이, 고가가 그리 중요하지 않은 초등학생들 학용품이 어쩌다 등골 브레이커로 떠오르게 됐을까? (*등골 브레이커 : 부모의 등골을 휘게 할 만큼 비싼 상품을 일컫는 말)
2011년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한 노스XXX 패딩이 '등골 브레이커' 시초. 25만 원대에서 70만 원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있었고, 그 모델로 계급이 나뉘는 현상이 발생.
2013년, '고가 패딩=등골 브레이커' 라는 인식이 강해지면서 고가 패딩 열풍은 사그라지는 듯 했지만 여학생들은 '화장품', 남학생들은 '자전거'로 다시 등골 브레이커가 등장.
2016년 현재, 유행에 민감한 중,고등학생에서만 나타나던 등골 브레이커가 초등학생에게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초등학교 입학 학용품 리스트
- 지우개(이탈리아제) 14만원
- 필통(프랑스제) 33만원
- 공책(이탈리아제) 28만원
- 책가방(일제) 69만8천원
합계 144만8천원 (출처:JTBC 뉴스브리핑)
취학 아동 엄마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책가방 브랜드
- 란도셀-최저가 34만원/최고가 69만8천원
- 키플링-최저가 15만5천원/최고가 31만8천원
- 빈폴-최저가 13만5천원/최고가 23만5천원
- 휠라-최저가 4만5천5백원/최고가 15만3천원
- 헤지스 최저가 10만8천원/최고가 13만8000원
이처럼 초등학생용 책가방이 최소 10만 원대를 웃돌며 비싸게는 70만원에 달하는 상황. 그래도 물건이 모자라 엄마들이 해외직구까지 해서 구하는 귀하신 가방이다.
옷 브랜드, 가방 브랜드로 서열을 정한다는 아이들. 그런 분위기를 조장하는 데는 분명 부모의 영향이 크다.
어른들의 '허영심'으로 아이들의 '서열'이 정해지는 현실…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