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구가 한 달 평균 책값으로 약 1만6천원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가 살아나지 않으면서 가구당 책을 사는 데 쓰는 돈은 5년 연속 줄어 최저치를 다시 경신했다.
3일 통계청의 '2015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을 보면 작년 전국 2인 이상 가구는 서적을 사는 데 월평균 1만6천623원을 썼다.
이는 전년(1만8천154원)보다 8.4% 줄어든 금액이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2014년 11월 21일부터 지난해 10월 31일까지 신간 단행본의 평균 정가는 1만7천916원이었다.
이를 고려하면 가구당 한 달에 책을 1권도 채 사지 않는 셈이다.
가구가 월평균 책을 사는 데 쓰는 지출은 2010년 2만1천902원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이어가 매년 최저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2011년 2만570원으로 가계동향 조사 대상이 도시가구에서 전국가구로 확대된 200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2012년 1만9천26원, 2013년 1만8천690원, 2014년 1만8천154원으로 더 줄었다.
특히 작년 책값 지출 감소폭은 2004년(-19.1%) 이후 가장 커 월평균 서적 지출이 더 가파르게 떨어졌다.
가구가 책을 사지 않는 것은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1.6% 증가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1.2%)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았다.
소득 증가율이 둔화하며 소비심리도 위축돼 월평균 소비지출은 역대 가장 낮은 0.5% 늘었다.
여기에 스마트폰 이용이 늘면서 독서 문화가 퇴조한 영향도 겹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문체부가 전국 19세 이상 남녀 5천명과 초·중·고교생 3천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성인 중 책을 한 권이라도 읽은 비율은 65.3%로 문체부가 조사를 시작한 1994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책의 경우 생필품이 아니고 선택적 소비영역이기 때문에 가계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을 때 더욱 빨리 지출을 줄이는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