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체지수는 참고용, 가장 핵심은 도덕성" 김회선 새누리 자격심사소위 위원장

입력 2016-03-02 20:32:15

"대구 의원이 교체 지수 언급, 형평성 고려 모두에게 질문 컷오프 활용 목적은 아니다"

김회선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 자격심사소위원회 위원장은 2일 "현역 국회의원에 대한 일괄적 컷오프는 없다. 다만, 도덕성을 기준으로 후보자 적격심사를 벌이면서 현역에 대해서는 다른 후보보다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본지 기자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최근 면접심사 과정에서 대구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제기된 교체지수 논란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초 19대 국회에 대한 국민적 비난이 높아 현역이 물갈이돼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외부 심사위원 중에서 당 차원의 교체지수 여론조사를 하자는 제의를 했지만, 내가 상향식 공천 취지에 맞지 않다고 해 조사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고 했다.

하지만 "면접심사 과정에서 새누리당 강세지역 초'재선 의원에게 '존재감과 활동 부진에 대한 비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공통질문을 했고, 여기에 대해 대구 한 의원이 지역 언론이 조사한 교체지수에 자신이 높게 나왔다고 자찬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해당 의원에 대해 어떻게 잘해서 그런 평가를 받았는지 설명을 요구했고, 형평성 차원에서 교체지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다른 의원들에 대해서도 해명의 기회를 주기 위해 질문한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부산의 한 의원이 제출한 자료에도 교체지수가 있어 부산지역 다른 의원들에게도 모두 질문한 내용"이라며 "교체지수와 관련한 언론 보도는 시민단체의 의정활동 평가 등과 마찬가지로 참고자료로 하는 것이지, 특정 목적(컷오프)을 위해 일괄적으로 활용할 것은 아니다"고 못박았다.

적격심사 기준과 관련, 김 위원장은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기준은 도덕성"이라며 "범죄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공직을 이용해 부당하게 청탁하거나 로비를 한 행위, 역대 관례로 볼 때 국민의 도덕적 비난의 대상이 될 정도의 논문 표절 등이 심사기준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또 "과다한 재산도 그 축적 과정에 대해 공관위원들이 문제를 제기하면 심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똑같은 실수나 도덕적인 문제가 제기되더라도 공인인 국회의원이 한 실수나 도덕성 문제는 더 엄격하게 볼 수밖에 없다"며 "의원의 막말이나 사회적 물의를 빚은 행위 등도 모두 심사대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까지 부적격자를 가려내는 과정에서 일부 이견도 있었지만, 결국 공관위원 11명이 공감대를 형성해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부적격자는 전체회의를 통해 공관위원 만장일치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