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선거구 획정 전격 합의…상주+군위의성청송, 영주+문경예천 통합 유력
여야가 23일 제20대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 기준에 가까스로 합의했다. 19대 총선에 적용됐던 선거구가 없어진 지 55일 만이고, 20대 총선 투표일을 불과 50일 앞두고서다. 새누리당 김무성'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정의화 국회의장 주선으로 회동해 이 같은 내용의 총선 선거구 획정 기준에 전격 합의했다.
여야는 국회의원 정수를 300석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숫자는 현행보다 7개 늘어난 253개, 비례대표 숫자는 그만큼 줄어든 47개로 각각 확정했다. 광역시도별로는 경기도가 현행보다 8석 많은 60석으로 늘어나고, 경북은 13석으로 2석이 줄어든다. 서울과 인천은 각각 1석씩 늘어 수도권에서만 10석이 늘어나게 됐다. 또 대전, 충남이 각각 1석씩 증가한다. 반면 강원, 전북, 전남은 1석씩 감소한다. 부산, 광주 등 나머지 광역시도는 현행 의석수를 유지하게 됐다.
여야는 인구산정 기준일을 지난해 10월 말로 해 상한선은 28만 명, 하한선은 14만 명으로 정했고 자치 구'시'군 일부 분할은 원칙적으로 금지하되 일부 불가피한 지역구는 예외로 하기로 했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이날 여야가 합의한 획정 기준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에 보냈으며 획정위가 이 기준에 따라 최대한 빨리 선거구획정안을 성안해 25일 국회로 보낼 예정이다. 국회는 이 획정안을 26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처리할 예정이다.
이 획정안에 따라 경북에서는 상주와 군위'의성'청송이 한 선거구로 통합되고, 영주와 문경'예천도 합쳐질 것으로 보인다. 단독 선거구 유지가 불가능한 영천은 경산과 한 선거구인 청도와 합쳐져 선거구를 유지할 전망이다. 또 대구는 인구 하한선에 걸리는 동갑과 북갑이 조정대상에 해당됐지만 인구 상한선을 넘기는 동을과 북을 지역에서 몇몇 동을 넘겨받아 선거구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됐다.
한편 더민주가 비례대표 의원 정수 축소의 조건으로 요구해온 석패율제 또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지역구 선거 연령 하향 조정, 투표시간 연장 등은 새누리당의 거부로 무산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