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지난해 전체 연안 수질 조사 2등급 이상의 '좋음'78% …7%p 쮢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연안 해역 가운데 경북을 접하고 있는 동해안 수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가 최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연안 해역의 평균수질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 1.21㎎/ℓ 수준이며, 전체 417개 측정지점 중 78%가 수질지수(WQI) 2등급 이상의 '좋음'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WQI(Water Quality Index)는 해수 수질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산소 농도, 식물성 플랑크톤 농도, 투명도, 질소 및 인 농도 등 5가지 지표를 조합한 수치를 말한다.
정부 조사결과 지난해 전체 연안 해역의 평균 수질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 1.21㎎/ℓ로, 2014년(1.23㎎/ℓ) 대비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별로는 동해가 평균 0.83㎎/ℓ로 가장 깨끗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해 1.25㎎/ℓ, 서해 1.55㎎/ℓ 순으로 조사됐다.
전체 417개 조사 정점 중 약 78%인 327개 정점이 WQI 수질 1등급 및 2등급으로 조사됐다. 수질이 '좋음' 수준인 2등급 이상인 조사정점 수 비율은 2014년(71%) 대비 약 7%p 높아졌으며, '나쁨' 수준인 4등급 이하 비율은 전체 조사정점의 4%(16곳)로 전년 11%(45곳)에 비해 7%p(29곳)가 감소되는 등 전체적으로 해양 수질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울산 연안, 마산만 내측, 시화호 내측 등 특별관리해역 중 육상오염물질 유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일부 정점과 진해만, 군산 연안, 낙동강 하구, 섬진강 하구 등 일부 정점에서는 부분적으로 WQI 수질 4등급 이하의 결과를 보여 수질 개선을 위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부는 상대적으로 오염이 심한 해역의 수질 개선을 위해 해역별로 오염원인 분석 및 추가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특별관리해역으로 추가 지정해 연안오염 총량관리를 시행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오염퇴적물 정화대상 해역 선정 시 우선 고려되도록 하는 등의 조치를 시행할 방침이다.
한편 해양환경측정망은 우리나라 연근해의 해양환경 상태를 정기적으로 조사해 해양환경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1980년부터 운영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