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북도, 동해안발전본부를 제2청사 수준으로 격상해야

입력 2016-02-17 21:18:45

경상북도가 동해안발전본부를 포항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경북도 동해안발전본부 이전 추진위원회는 동해안권 4개 시'군에 대한 평가 결과, 최고점을 받은 포항을 이전지로 선정'발표했다. 이전 시기는 2, 3년 후쯤이다. 경북도는 동해안발전본부를 통해 안동'예천 신청사 이전에 따른 동남권 지역의 행정 공백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북도의 설명과는 달리, 동해안발전본부는 도청 이전에 따른 동남권 주민들의 소외감을 해소할 만한 규모와 기능을 전혀 갖추지 못했다. 본부 규모는 4개과 직원 62명으로 구성됐지만, 도청 전체 19개 실'국 가운데 1개 국(局)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소규모다. 본부에 소속한 동해안발전정책과, 해양항만과, 수산진흥과, 독도정책관 등 4개 과(課)도 내륙인 신도청에 있을 이유가 없는 부서다. 본부에는 기획'예산 기능이 없어 독자적인 정책 판단'집행을 할 수 없고, 민원 처리 기능마저 거의 없다.

경북도는 당초 지방자치법에 따라 인구 800만 명 이상인 경기도를 제외하고는, 제2청사를 세울 수 없다며 건립에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도청 이전으로 동남권 주민의 불만이 쏟아지자, 그제야 출장소 규모보다 조금 큰 동해안발전본부를 만들었다. 그렇지만 경남도는 지난해 12월 진주시 옛 진주의료원 자리에 서부청사를 개원하고 수장으로 서부부지사를 임명했다. 본청 3개국과 2개 직속기관, 460명의 대규모 인원이 옮겨와 경남 서부지역을 관할한다.

경남도는 조례만으로 서부청사를 운영하는데도, 경북도는 관련 법규를 핑계삼아 동해안발전본부로 생색을 낸다는 지적을 받았다. 굳이 경남도를 본받을 필요는 없겠지만, 포항~신도청 구간은 2시간 이상 걸릴 정도로 먼 거리임을 고려해야 한다. 동남권 주민의 불편을 감안하면 경북도의 제2청사 건립이 더 시급한 사안일 수밖에 없다.

경북도가 도청 이전으로 눈코 뜰새 없이 바쁘지만, 인구의 45% 이상을 차지하는 동남권 주민의 분위기와 사기를 고려하는 정책을 내놔야 한다. 조만간 동해안발전본부의 기능과 규모를 크게 확대해 제2청사 수준으로 격상해야 도민 화합과 단결도 가능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