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장거리 로켓(미사일)을 발사하겠다고 국제기구에 수정 통보한 기간이 7일 시작됐다.
국방부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경우 이를 최우선 탐지·추적하고 미사일 잔해가 우리 영토에 낙하할시 요격하고자 고도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군 관계자는 이날 "북한이 오늘 7일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애초 국제해사기구(IMO)에 미사일 발사 예정 기간을 8∼25일로 통보했으나 6일에서야 뒤늦게 7∼14일로 앞당겨 통보했다.
이같은 일정 변경에 따라 우리 군은 북한이 7일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고자 미사일 발사 예정 기간을 변경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날은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 있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장 지역의 날씨가 좋아 미사일 발사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북한이 IMO에 통보한 미사일 발사 시간은 오전 7∼12시(한국 시간 7시 30분∼12시 30분)다. 북한이 미사일을 쏜다면 대기 상태가 가장 안정적인 오전 9∼10시경이 될 가능성이 크다.
북한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 준비를 다 마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동창리 발사장에서는 이미 지난 4∼5일 장거리 미사일에 연료를 주입할 준비를 하는 정황이 포착됐다. 연료 주입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 준비의 마지막 단계다.
우리 군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비해 이지스함, 그린파인 레이더, 공중조기경보통제기 피스아이를 가동하는 한편, 미사일이 저고도로 영공을 침범할 경우 요격하고자 패트리엇(PAC-2) 미사일 발사 준비도 완료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언제 미사일을 쏘더라도 즉각적으로 탐지·추적하고 필요시 요격할 준비가 다 돼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