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조직 만드는 데 최소 5억원 이상 들어

입력 2016-02-03 00:01:00

억!억! 예비후보들 '쩐의 전쟁'…사무실 운영에 한 달 300만원 이상, 선거운동 日 100만원

4'13 총선에 나선 예비후보들이 지지세 확산에 앞서 내부적으로 '쩐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다. 공천 일정이 미뤄지고 선거운동 기간이 늘어나면서 예비후보들은 사무실 운영비와 인건비 등 고정비용이 이전 선거 때보다 훨씬 많이 들고 후원계좌 개설, 출판기념회 자제 분위기 등으로 돈줄이 막히고 있어서다. 얼어붙은 경기 탓에 아직 후원회 조직조차 꾸리지 못한 후보들도 많다. 예비후보만 돼도 수억원을 써야 하는 상황인 터라 중도하차를 고민하거나 타 후보와 물리적 결합을 고민하는 후보도 나오고 있다.

사무실을 개소하고 선거운동에 나선 후보들은 하루 평균 100만원 이상의 비용을 써야 한다는 것이 선거관계자들의 얘기다. 우선 고정비가 만만찮다. 사무실을 운영하는 데만 기본적으로 한 달에 300만원 이상 든다. 월세와 관리비'전기세(조명 포함), 난방비'커피'식비 등의 항목 때문이다. 대구 북구에 출마한 한 후보는 "최근 날씨까지 추워져 난방비가 예상외로 많이 든다"고 하소연했다.

가장 많이 드는 비용은 사무원 인건비다. 예비후보는 사무장과 회계책임자를 비롯해 4명을 둘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수행원과 홍보담당자, 아르바이트생 등 최소 7, 8명이 필요한 상황이다. 사무장과 회계책임자는 하루 일당을 9만원까지 줄 수 있고 사무원은 7만원까지 줄 수 있다. 그러나 몸값이 높은 홍보책임자 등을 영입했을 때는 법을 어겨가면서까지 웃돈을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대로 된 선거조직을 만들려면 '최소한 5억 이상 든다'는 것이 후보자들의 얘기다. 동마다 동책을 둬야 하고 2, 3명의 관리인을 붙여 줘야 하기 때문이다. 친목행사나 술자리'동창회 등 행사 때마다 식사'술자리를 통해 관리를 해야 한다.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이들 조직을 가동하기 전 미리 '공'을 들여놔야 해 소홀히 할 수도 없다.

나갈 곳은 많은데 들어올 곳은 확 줄었다. 지난 총선만 하더라도 출마와 동시에 출판기념회 등을 통해 '총알'을 장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 총선에는 출판기념회를 자제하는 분위기다. 얼어붙은 경제 탓에 후원회 계좌도 예전만 못하다. 중'남구에 출마한 한 후보는 "후원계좌를 개설했지만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고 있다.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운 마당에 '고지서'처럼 후원계좌를 보낸다는 것이 미안해서다"고 했다. 현역국회의원들의 경우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예전만 못하다. 지역의 한 국회의원은 "후원회 계좌를 개설했지만 돈이 모이지 않아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했다.

중도하차나 다른 후보와의 물리적 결합을 고려하는 예비후보도 있다. 지역의 한 예비후보는 "사무소 개소 후 두 달 만에 자금이 거의 바닥이 난 상태다. 본선에 오르기도 전에 사퇴해야 할 판이다. 같은 지역에 출마한 한 후보가 '지지선언'을 대가로 선거비용을 보전해 주겠다는 제안이 와 심각하게 고민 중이다"고 귀띔했다.

새누리당 대구시당 관계자는 "선거구 획정 등이 지연되면서 공천 일정이 미뤄지고 있다. 2월은커녕 3월 중순이 지나야 공천 작업이 끝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구경북의 경우 전국에서 공천이 가장 늦게 확정될 가능성이 있어 지역에 출마한 예비후보들의 금전적 부담이 늘고 있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