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피해 겁나 성희롱 신고 꺼리는 직장女

입력 2016-01-21 19:46:30

여성 직장인의 절반 가까이는 성희롱 피해를 보더라도 회사 안팎의 불이익을 우려해 문제 제기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해 7월 직장인 450명과 대학'대학원생 350명 등 여성 800명을 대상으로 '성희롱 2차 피해 실태 및 구제강화를 위한 연구'를 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1일 밝혔다.

조사결과 여성 직장인 가운데 성희롱 피해를 봤을 때 성희롱 문제를 제기하겠느냐는 질문에 40.2%는 "제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직장 규모별로는 근로자 10인 미만인 중소 사업장에서 일하는 여성의 54.2%가 이렇게 답했다. 문제제기를 꺼리는 이유로는 '나에 대한 좋지 않은 소문이 날까 봐'(20.8%), '고용상 불이익을 당할까 봐'(14.4%), '처리과정 중 정신적 스트레스 때문에'(13.8%), '가해자를 다시 대하는 것이 불편해서'(10.2%) 등이 꼽혔다.

여성 직장인들이 당하는 성희롱 유형으로는 음담패설 등 성적인 이야기 또는 농담이 33.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외모'옷차림'몸매 등에 대한 평가 발언 30.0%, 누군가와 사귄다는 소문이나 성적 추문 17.6%, 회식자리에서 술시중'블루스'옆자리 강요 14.0%, 사내 음란사진'동영상 10.4% 등 순이었다.

성희롱 2차 피해를 경험한 여성 직장인들은 주변에서 공감하거나 지지하지 않고 참으라고 하는 것(22.2%)을 가장 많이 경험했다고 답했다. 성희롱은 개인적인 문제이니 알아서 해결하라는 사업주(11.3%)나 회사에서 불이익을 암시해 성희롱을 축소'은폐하려는 경우(12.4%), 회사가 성희롱 문제의 처리를 지연하거나 조치하지 않는 경우(10.9%) 등도 피해자들을 힘들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2차 피해는 주로 가해자(38.9%)나 동료(22.4%)로 인해 발생했다. 2차 피해 발생 이유로 여성 직장인들은 법적제재가 미흡(20.4%)하고 피해자 보호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19.8%)이라고 생각했다. 여성 대학'대학원생의 경우 성희롱 피해를 가장 많이 당하는 장소는 음식점'술집'노래방 등 유흥업소(47.7%)였다. 이어 MT'수련회 등의 숙박시설(16.9%), 연구실'실험실(12.0%), 동아리방(6.9%), 하숙'자취방(5.7%) 등 순이었다.

인권위 관계자는 "여전히 상당수 여성이 성희롱 문제제기로 인한 2차 피해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는 점이 설문을 통해 확인됐다"며 "인권위는 성희롱 예방책과 피해자 구제 방안 등 종합적인 제도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