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윤환 문경시장과 이정백 상주시장이 12일 문경시청에서 만나 문경의 흥덕정수장에서 생산하는 상수도물을 서로 나눠 쓰는 협약을 맺었다. 일일 생산 3만5천t 수돗물의 10%인 3천500t을 이웃 상주 함창읍과 이안면 주민 4천200여 가구에 5월 1일부터 공급한다는 내용이다. 대신 상주시는 해마다 상수도 사용료로 6억7천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문경 정수장에서 4~8㎞ 떨어진 상주 두 고을에 대해 경계를 넘는 수돗물 공동 사용이라는 두 시의 협력은 주민에게 혜택을 주는 실질적인 상생의 좋은 사례다. 구미와 대구 간의 해묵은 취수원 갈등에서처럼 지자체 간 물 분쟁이 첨예한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낙동강 지류인 문경 영강 취수원 물로 두 지자체는 시설 경비 분담에 따른 재정부담 완화 등 서로 실익을 챙기는 셈이다.
문경과 상주의 이런 상생이 더욱 돋보이는 것은 물 공유에 앞서 이미 다른 분야에서도 공조 활동을 이뤘다는 점이다. 지난 1998년부터 올해로 19년째 이어진 산불진화용 민간 헬기의 공동임차 사업이 그렇다. 연간 8억~10억원에 이르는 임차료를 임야 면적에 따라 나눠 부담한다. 이뿐만 아니다. 2004년부터 시작한 하수처리 공조 사업도 있다. 상주 함창에서 나오는 일일 3천~5천t의 하수를 문경의 점촌처리장에서 해결한다.
두 지역의 협력은 충분한 수범사례가 됨 직하다. 두 곳은 국회의원 선거구도 다르다. 경쟁 유혹이 따르는 민선 자치제 도입 20년 역사만큼 살림살이 역시 완전히 따로다. 이런 이질(異質)과 구분(區分)의 제도 및 현실의 제약을 넘어 공생 협력 분야 확장 행정이 쉽지만은 않다. 이는 지금도 끊이지 않는 지자체 간의 크고 작은 갈등이 잘 말해준다.
두 지역의 수범은 분명 오랜 세월 같은 생활권이라는 공동체 정신의 작용 결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지자체 간 쌓아온 신뢰라는 자산과 수혜자는 결국 주민이라는 지자체의 주민 지향 행정 사고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 됐음이 틀림없다. 경계를 뛰어넘는 상생 행정은 주민, 지자체, 나라 모두에 득이다. 지자체 상생 사례의 끝없는 행진과 지속적인 확산을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