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할매할배의 날 용어 조사…10점 만점에 5.5∼7점 '긍정적'

입력 2016-01-07 01:00:03

경북도가 할매할배의 날을 확산시키기 위해 지난달 1일부터 14일까지 15개 광역시'도에 사는 청소년과 성인 남녀 1천500명(시'도별 100명)을 대상으로 할매할배의 날 국가기념일 제정 필요성 및 용어 수용성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 할매와 할배 단어를 알고 있는 사람은 각각 93.7%와 93.2%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소 할매, 할배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63.2%와 66%로 나타났다. 영남권에서는 50% 이상 이 단어를 쓴다고 대답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사용 비율이 25% 내외에 그친 것이다.

그러나 경북도는 이번 조사에서 할매'할배에 대한 어감 조사결과에 주목했다. '정감간다'편안하다'친근하다' 등 9개 항목에 대한 어감 조사에서 10점 만점에 5.50~7.01점으로 긍정적 평가가 나온 것. 전국적으로 할매'할배 단어가 일상생활에서 무난히 수용될 수 있을 것으로 경북도는 판단하고 있다.

특히 조손이 따로 거주하는 가구 중 45.6%가 분기 1회 이하로 조손이 만나는 것으로 조사돼, '할매할배의 날'을 통해 조손 간 만남 횟수를 증가시켜 세대 간 소통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할매할배의 날을 전국에 생활실천운동으로 확산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61.1%나 됐다. 또 조부모와 손주의 교류를 위한 국가기념일 지정에 공감한다는 의견은 50.5%인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23.4%에 그쳤다.

경북도 김종수 복지건강국장은 "조부모와 손주 간 교류 횟수가 많을수록 세대 간 소통'공감 지수가 높은 것으로 이번 조사에서 나왔다"면서 "할매'할배 인지도가 높고 어감 평가도 긍정적으로 나온데다, 조부모와 손주가 자주 만나는 것에 긍정적 평가가 높은 만큼 경북도 할매할배의 날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방침"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