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안심번호②신인가점③결선투표…새누리 '공천룰' 3대 갈등

입력 2015-12-31 01:00:09

안심번호 또 밀어붙이는 김무성…"이통 3사 회의…가능하다 답 얻어"

새누리당이 정치 신인에게 주는 10% 가점과 관련해 정치 신인을 현 정부 장'차관 및 청와대 인사 등에까지 확대할 것인지와 '안심번호 여론조사' 적용 여부, 결선투표 도입을 두고 친박과 비박계 간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30일 4'13 총선 여론조사 경선에 '안심번호'를 도입하는 문제와 관련, 이동통신 3사 임원들을 서울 여의도 당사로 불러 회의를 열고 의견을 수렴한 뒤 "기술적으로, 시간적으로 이번 총선에서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는 답을 얻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 이통사 실무자는 나중에 후보자들로부터 법적 시비에 걸리고 싶지 않아서 부정적으로 답한 것 같은데, 그렇기 때문에 선관위가 주도하는 것으로 바꿔주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답을 얻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비용 문제에 대해서도 "비용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말하더라"고 전했다. 안심번호 활용제는 친박계가 반대하는 데다 경선 시 일반국민 대 당원 여론조사 비율과도 맞닿아 있어 친박-비박 갈등의 주요 원인이 될 전망이다. 특히 안심번호제는 그동안 여론 조작 우려 때문에 문제점이 꾸준히 지적돼 온 단순 여론조사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간주돼 왔다는 점에서 채택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 신인 및 여성 신인에 대한 가점도 쟁점이다. 친박계 주장처럼 정치 신인의 범주를 총선에 한 번도 출마하지 않은 사람으로 넓게 볼 경우에는 청와대 수석비서관이나 장관 등도 가점을 받을 수 있어 새누리당 경선 과정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더해지는 변수가 결선투표다. 공천개혁특위는 결선투표를 도입한다는 원칙에만 합의했을 뿐, 어떤 경우에 결선투표를 도입할지, 결선투표를 할 경우에도 가점을 적용할지 결론을 내지 못한 상태다. 결선투표 도입 요건으로 당내에선 '과반 득표자가 없을 때'와 '1'2위가 오차범위 접전일 때'로 맞서고 있다.

예선에서도 주요 변수로 작용할 가산점을 결선투표에까지 적용하느냐 여부도 논란거리다. 2'3위 후보가 연합해 1위 후보와 맞서면서 가점까지 얻으면 1위 후보를 손쉽게 뒤집을 수 있다는 게 중론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현역 의원에 대한 '물갈이' 도구로 활용될 공산이 크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