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앞으로도 차고 넘칠 대졸 실업자, 지켜만 볼 텐가

입력 2015-12-17 01:00:12

고용노동부가 앞으로 10년간 대졸자 79만여 명이 일자리를 구하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인문'사회계열의 공급 과잉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영'경제 부문에서는 12만2천 명의 대졸자 초과 공급이 예상된다. 학령인구 감소로 교사 수요가 줄면서 4년제 대학의 사범 계열에서도 12만 명이 남아돌게 생겼다. 반면 공학계열은 일자리가 아닌, 사람이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계'금속에서는 7만8천 명, 전기'전자 부문에서는 7만3천 명의 인력이 더 필요하다. 가뜩이나 대졸 일자리가 모자라는 상황에서 문'이과 간 불균형이 일자리 부족을 부추기는 것이다.

이 기간 4년제 대학 졸업자는 302만1천 명에 이르지만 수요는 269만9천 명에 그친다. 32만2천 명의 일자리가 모자라는 셈이다. 전문대를 포함하면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예상되는 전문대 졸업생 수는 172만6천 명인데 일자리 수요는 125만5천 명에 지나지 않는다. 47만1천 명이 졸업과 동시에 실업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우리나라의 학력 인플레이션은 세계에서 유례가 없다. 우리나라 청년층의 대졸자 비율은 68%에 이른다. OECD 34개 회원국 중 단연 최고다. 대졸 실업자가 넘쳐나는 것도 과잉 학력에 대한 대응을 소홀히 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과거 경제가 고속 성장하던 시절에는 대부분 대졸자의 수용이 가능했다. 그러나 대학 졸업생 수는 늘어난 반면 경제는 저성장 혹은 성장 정체 시대로 접어들었다. 고속성장 시대엔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지만 저성장시대엔 일자리 창출이 더디다. 기존 실업자에다 앞으로 쏟아져 나올 대졸자를 다 수용할 수 있는 일자리는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다.

정부도, 대학도, 대졸 구직자도 이 사실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 대졸자들이 갈 수 있는 직장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없다면 넘쳐나는 대졸자를 줄여나가는 것이 순리다. 문과, 이과 가릴 것 없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쪽으로 대학 구조개혁도 뒤따라야 한다. 대학과 정부가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부분이다. 대학 진학생들 역시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해 무조건 대학에 진학하기보다는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고려하는 혜안이 필요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