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대표, 친박계 요구 수용 특별기구위원장에 황진하 선임
새누리당이 내년 4'13 총선과 관련, 경선 과정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공천 룰' 논의를 위한 특별기구를 출범시키고 위원장에 황진하 사무총장을 선임했다. 경선을 실시할 경우 일반 국민과 당원의 참여 비율 등은 추후 공천특별기구에서 논의하기로 했다.
새누리당은 큰 틀의 공천 룰에 대해 가닥을 잡았으나 컷오프 적용 여부와 폭, 우선추천제 도입, 국민 참여 비율 등 지역별로, 또 계파별로 더 첨예한 부분에 대한 논의가 남아 있어 계파 간 힘겨루기는 이제부터 본격화할 전망이다.
새누리당은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의결했다. 앞서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이정현 최고위원 등 새누리당 지도부는 6일 저녁 서울의 한 음식점에서 만찬 회동을 열고 이 같은 방안에 뜻을 모았다.
특히 새누리당은 결선투표제를 전격 도입함으로써 공천 방식의 큰 틀에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결선투표제는 경선에 3명 이상의 후보가 출마했을 때 1차 경선에서 1위와 2위를 한 후보끼리 2차 경선을 치러 최종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친박 주류 진영에서 대구경북(TK), 부산경남(PK), 서울 강남 3구 등 전국의 새누리당 텃밭에서 정치 신인을 등용하기 위한 방식으로 도입을 요구해온 안이다. 김 대표 측은 이를 인위적 물갈이로 보고 반대 입장을 밝혀온 바 있다.
경선에 일반 국민이 참여하는 비율에 대해서도 표면적으로 김 대표와 친박계는 접점을 찾았다. 이날 최고위에서 "현행 당헌당규(50대 50)를 따르되 경선에서 대의원 비율은 상황에 따라 조율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오랫동안 진통을 겪어왔던 특별기구가 양측의 타협으로 구성됐지만 당내에는 날카로운 전운이 감돌고 있다. 구체적인 룰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이제까지보다 더 거센 파열음이 발생할 것이라는 게 정가의 분석이다.
당장 결선투표제 대상을 어느 범위로 정할지가 쟁점이다. 일각에선 본선 투표 결과 1위 후보가 과반 득표한 경우에만 결선투표 실시를 제외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다른 쪽에선 1위 후보가 2위 후보를 오차범위를 넘어서 이기면 결선투표를 할 필요가 없다고 맞서는 등 기준이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다.
국민참여비율을 두고도 거친 진통이 예고된다. 김 대표는 상향식 공천 취지에 맞게 일반 국민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친박계는 이에 반대하고 있다. 다만 친박계 일각에서는 새누리당 지지도가 높은 영남을 중심으로 국민 참여 비율을 높여 '물갈이' 근거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또 지도부에서는 김태호 최고위원을 중심으로 컷오프와 전략공천 필요성을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최고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결선투표제를 전면 실시하느냐, (아니면) 1, 2위 간 큰 차이가 났을 때는 그냥 확정하느냐 등의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기구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 대표는 전날 저녁 최고위원이 전원 참석한 비공개 만찬에서 전략공천과 컷오프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자 "하려면 나를 죽이고 하라"며 강력 반발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