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철 화력발전소 건립 포항시민 청원서 제출

입력 2015-12-02 01:00:59

추진위, 환경부 등 방문 설비투자 규제완화 촉구…찬성 33만 명 서명 전달

"포스코의 위기를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향후 생명선이 될 '화력발전소' 설립 추진 운동이 수면 위로 본격적으로 올라왔다.

포항 투자촉진 추진위원회(이하 투자추진위)는 지난달 27일 환경부와 민관합동규제개선추진단을 찾아 포스코 포항제철소 청정화력 발전설비 투자를 위한 규제완화를 촉구하는 청원서와 이를 찬성하는 33만 명 포항시민들의 서명부를 함께 전달했다.

투자추진위는 화력발전설비를 도입하더라도 이전에 비해 시설 전체 오염 배출량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법 예외규정을 포항제철소가 충분히 충족할 수 있다며 청원서의 타당성을 설명했다. 화력발전설비 도입 전에 현재 가동 중인 소결공장을 폐쇄하고, 내부환경오염설비 시설도 확충하겠다는 것이 포스코의 확약이다.

상당수 포항시민들도 생존을 걸고 경영정상화에 나선 포스코의 입장과 포스코의 지역경제 기여도, 확실한 오염절감 방안, 설비구축에 따른 대규모 투자 등을 감안해서라도, 화력발전설비 도입이 절실하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윤광수 포항상의 회장(대표 청원인)은 "포항권 경제 활성화를 염원하는 33만 포항시민의 간절한 바람을 정부와 민관합동규제개선추진단이 헤아려주길 바란다"면서 "포항 철강 산업 경쟁력 강화와 침체된 지역 경제가 포스코 화력발전설비 도입을 계기로 재도약할 수 있다는 사실을 중앙정부가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포항제철소는 한국전력으로부터 전기를 구입하는 비용(수전비용)이 매년 급격히 늘어 올해는 7천억원, 2022년에는 1조2천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영업이익(지난해 1조2천억원) 추이를 볼 때 앞으로 7년 내에 수전비용을 해결하지 못하면 공장가동에 따른 실익이 없어 공장폐쇄가 불가피하다고 포항제철소는 하소연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