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와 김천시, 칠곡군이 12월 1일부터 행정구역을 넘어 시내버스 무료 환승 실시에 합의했다. 이를 위해 지난 16일 3개 시·군 단체장이 '시내버스 광역환승 업무협약'을 맺었다. 공동생활권인 경북 중서부권을 묶는 교통망이 생긴 셈이다. 두 달 넘게 머리를 맞댄 결과다.
경북에서 처음으로 2008년 시내버스 무료환승을 시작한 구미는 2013년 인근 김천과 광역환승협약으로 두 지역 간 무료환승제를 도입했다. 이로써 연간 12만 명의 두 도시주민이 혜택을 누린다. 이번에 칠곡이 가세해 10만 명이 추가로 무료환승 혜택을 보게 됐다. 따라서 세 지역의 직장 출퇴근 근로자와 볼일을 보는 주민의 교통비 부담은 크게 줄고 대중교통 편익은 되레 증가하게 됐다.
이들 세 시·군의 사례처럼 지자체가 주민을 위해 경계를 넘어 손을 잡고 지혜와 경험을 나누는 일은 바람직하다. 자존심 경쟁이 강했던 포항시와 경주시가 그렇다. 두 시는 올 3월 '형산강 미래포럼'을 발족하고 10월 40여 개 사업의 공동추진을 위한 '형산강 상생발전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구미·영천·상주시와 군위·의성군 등 5개 시·군도 말산업을 매개로 뭉쳐 6월 정부로부터 '말산업특구'로 지정받았다.
올 들어 잦아진 시·군 경계를 허무는 협조는 보다 작은 규모의 일선 행정단위로 번지고 있다. 경주 건천읍과 상주 은척면이 좋은 사례다. '금척'(金尺)과 '은척'(銀尺)이라는 신라 옛 이야기를 문화자원으로 삼아 지난 6월 마을단위 문화교류사업에 손을 잡은 것이다.
이처럼 시·군 고유 자원을 인근 지자체와 공유하고 서로 배려하고 상생 협력을 해야 할 분야는 숱하다. 민선시대 시·군 간 선의의 경쟁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이웃 지역과 손을 잡는 일 또한 점차 많아지고 있다. 경계를 벗어나는 주민 간 잦은 왕래와 자연스러운 공동생활권 형성 탓이다.
이에 따른 시·군 간 협력은 필수다. 그 결과는 고스란히 주민 혜택으로 돌아가게 마련이다. 이를 바탕으로 신뢰를 구축하면 화장장과 쓰레기처리장 같은 민감한 문제까지로도 협력 분야를 넓힐 여지는 충분하다. 주민이 느끼는 행복을 향한 경계를 넘는 지자체의 노력이 절실한 까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