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금리에도 저축률 오히려 늘어
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는데도 저축률은 오히려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예금 금리가 연 1%대 중반에 불과한 수준으로 떨어졌는데도 미래 불안으로 가계가 지갑을 닫고 있어서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부문의 순저축률은 2013년도보다 1.2%포인트(p) 높아진 6.09%를 기록했다. 가계 순저축률은 가계의 순저축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 1990년대 초반만 해도 20%대를 유지했던 가계저축률은 이후 하락 추세를 보이며 2011년 3.39%까지 낮아졌다가 2012년 3.42%, 2013년 4.90%로, 작년까지 3년 연속 상승 추세다.
가계저축률 증가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의 자금순환 통계를 보면 올 2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예금이나 보험, 주식, 채권으로 굴린 돈(자금운용)의 증가액은 61조8천억원으로,1분기의 43조7천억원과 비교해 18조1천억원 늘었다.
2분기 국민총소득(GNI)은 전분기보다 0.1% 감소할 정도로 소득 여건은 악화됐는데 가계가 씀씀이를 더 줄이면서 쓰고 남은 돈이 더 늘어난 것이다.
가계 부문을 중심으로 저축이 늘면서 기업과 정부, 가계를 모두 합한 총저축률은 지난 1분기 36.5%를 기록, 분기 기준으로는 1998년 3분기(37.2%)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분기 총 저축률은 35.3%로 1분기(36.5%)보다는 1.2%p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가계저축 확대는 가계의 재무여건을 양호하게 하고 기업 투자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어 일단 긍정적이다. 그러나 꼭 반가운 소식만은 아니다. 경기회복이나 가계소득 증대에서 비롯됐다기보다는 향후 경기 전망이나 노후 등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측면이 강해서다. 실제로 통계청 조사결과를 보면 연간 지난해 2인 이상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72.9%로 해당 조사를 전국 단위로 확대한 2003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CEO연구원 고건영 컨설팅 팀장은 "가계저축 확대는 향후 경제성장, 고용, 임금 등에 대한 불안감에 따른 저축의 증가로 보인다. 이는 소비위축 및 내수회복 지연 가능성을 의미하므로 우려되는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