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례 정도 만났지만 만남 자체에만 의미…거의 빈손으로 마무리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의 회동은 최고 통치권자와 정치권의 여야 수장들이 만난다는 점에서 국정의 매듭을 풀기 위한 중대 분수령으로 기대를 모으곤 했다. 그러나 박근혜정부 들어 성사된 과거 회동을 돌이켜보면 만남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것 이상의 눈에 띄는 결과물을 얻어낸 사례는 별로 없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박 대통령은 지난 3월 17일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했다. 당시 회동은 박 대통령의 중동 순방 성과를 설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 대통령과 김'문 대표는 100분가량 국정 현안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주고받았지만, 손에 잡힐 만한 성과는 없었다. 지난해 10월 29일에는 예산안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를 방문한 박 대통령이 김 대표와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 이완구 원내대표와 우윤근 원내대표 등 여야 지도부와 1시간 동안 만났다.
박 대통령은 같은 해 7월 10일에도 이완구'박영선 원내대표, 주호영'우윤근 정책위의장 등 여야 원내지도부 4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1시간 30분간 의견을 교환한 바 있다. 당시 회동 이후 야당은 '부적격' 낙인을 찍은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박 대통령의 지명 철회라는 성과를 얻었지만, 곧바로 '세월호 특별법'을 둘러싼 논란에 휩싸이면서 정국은 급랭했다.
이에 앞서 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3년 9월 16일에도 국회에서 황우여'김한길 여야 대표를 만났지만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 채동욱 검찰총장 사의 표명 등 여야가 강경 대치하던 사안은 전혀 풀지 못한 채 사사건건 이견만 확인하는 자리로 마무리됐다.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22일 회동 역시 '역사 전쟁'으로 물든 가을 정국의 중요한 분수령은 되겠지만 꽉 막힌 '교과서 정국'의 돌파구로 작용할지는 미지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