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친박·비박 공천룰 대치 '계속상황'…야, 특보단 구성부터 뇌관 '잠복상태'

입력 2015-10-19 01:00:06

당내 계파간 이견 갈등 여전

'역사교과서 국정화' 공방에 여야의 총선체제 가다듬기가 잠시 휴식기다. 하지만 공천룰 등을 둔 당내의 계파 간 이견이 여전해 갈등으로 커질 폭발성은 유효한 상황이다.

새누리당은 현안 문제에 치중하면서 물밑 조율을 시도하지만 아직까지 당 특별기구 위원장 인선 등의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공천룰을 두고 친박계와 비박계 간 의견대치가 '계속 상황'이라 일단 논의가 시작되면 당은 다시금 격랑 속에 휘말릴 가능성이 커 보인다.

최고위원회에서 결정 권한을 위임받은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서청원 최고위원 간 조율이 이뤄지게 되면 특별기구 위원장 인선은 의외로 쉽게 풀릴 수 있다는 관측이다. 4선 중진의 이주영 의원이 위원장직을 고사한 만큼 애초 김 대표 '의중'대로 황진하 사무총장으로 위원장 선임이 정리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문제는 기구 운영방안인 공천 방식. 경선룰인 당원투표와 국민투표(또는 여론조사)의 반영 비율을 두고는 신경전이 치열한 상태다. 비박계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최종 무산되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비중을 현행 50%보다 높여 70∼80%까지 늘려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친박계는 정당정치의 존립근거인 책임당원의 투표권한을 보장해줘야 한다며 5대 5 현행 방식의 고수를 앞세우고 있다. 현역 컷오프와 결선투표제 실시, 여당 텃밭인 강남 3구와 대구경북(TK)지역의 '우선추천지역' 포함 여부를 둔 대치도 진행 중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당내 비주류 인사들이 포함된 대규모 대표 특보단을 이번 주 구성키로 하는 등 전열을 가다듬고 있지만 당내 갈등을 유발할 뇌관은 여전히 잠복상태다. 이번 주 중으로 예정된 특보단 구성부터 삐걱거릴 가능성이 있다. 지난 16일 '현역의원 20% 물갈이' 권한을 갖는 당 선출직평가위원장에 임명된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도 계파 간 힘겨루기 속에 겨우 인선이 확정됐다. 이 외에도 당무감사원장, 윤리심판원장, 인재영입위원장 등 인선이 줄줄이 남은 상태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둘러싼 논란도 증폭되고 있다. 그동안 잠잠하던 오픈프라이머리 찬성론자 79명이 오픈프라이머리에 부정적이던 혁신위원회 활동이 종료되자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를 주장하며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하고 나섰다. 새정치연합은 이르면 20일 의총을 열어 이 문제를 정식으로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