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청, 도청 이전터로 옮기고 시청 자리에 '청년 벤처타운' 만들자"

입력 2015-10-15 02:00:01

홍철 대가대 총장 상의 경제포럼 강연서 제안

노후된 대구시청사를 경북도청 이전터로 옮기고 그 자리에 청년들이 창업에 열중할 수 있는 '청년 벤처타운'을 조성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홍철 대구가톨릭대 총장은 14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주관한 '제200차 21세기 대구경제포럼-최고의 네트워크 도시, 대구' 강연을 통해 이같이 주문하며, "도심이 커야 도시 경쟁력이 나온다. 시청 자리를 중심으로 한 삼덕동, 동성로 등 중구 일대를 청년들의 삶터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홍 총장은 "저 역시 과거엔 중구 공동화 현상을 우려해 대안도 없이 시청을 이전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제 경북도청이 떠나는 만큼 공간 부족 문제에 시달리고 있는 대구시청사를 그 자리로 옮기고 시청 건물을 다른 방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 총장은 대구도 '제2의 서울, 경북의 부산'으로 도약하려면 적절한 도시 브랜드를 찾고 지역 청년의 유출을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홍 총장에 따르면 대구시는 그동안 지자체장이 바뀔 때마다 솔라시티, 첨단지식산업도시 등 새로운 도시 브랜딩을 시도한 탓에 확고한 브랜드를 얻지 못했다. 광주가 1990년대 말부터 광(光)산업에 매진, 20년가량 꾸준히 밀어붙여 현재 도시 브랜드 산업으로 일궈낸 것과 비교된다는 것. 이 때문에 지역에 탄탄한 산업이 없고 양질의 일자리도 줄었다는 설명이다.

홍 총장은 "도시 브랜딩은 미래를 내다보며 소규모라도 장기적으로, 일관된 정책을 고수해야 한다. 또 직접 나서려 하기보다는 민간(기업)의 창의성을 활용하고 이들이 뜻을 모을 수 있도록 힘을 실어 줘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과천종합청사가 세종시로 떠난 뒤 이곳에 판교밸리 같은 테크놀로지 단지를 조성했다면 더 큰 부가가치가 있었을 것"이라며 "서울의 삼성역'홍대 앞처럼 대구도 청년 주요 집결지인 동성로 일대와 대구시청 자리에 청년을 위한 먹거리, 놀거리, 배울거리, 일거리가 복합된 공간을 조성하면 새로운 도시 브랜드도 생기고 역외 유출도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했다.

대구 인근의 경북 10개 시'군과 연계한 광역경제권을 활용하고, 삼성 등 대기업에 대한 투자 의존을 줄이는 대신 기업 정신을 배워야 한다는 주문도 했다. 홍 총장은 "삼성도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다. 가치가 있는 곳에 투자하는 것이 기업 논리다. 대구 출신 기업이라는 이유로 투자를 강요하기보다는 도시 컨설팅을 요청하는 등 세계 일류를 지향하는 삼성의 혁신정신을 전수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