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아닌 역사교육 관점서 봐야" "국정화는 시대착오…헌법정신 위배"

입력 2015-10-13 01:00:06

교육계도 '한국사 전쟁' 가열…입장 미루던 교총 찬성 공식화

12일 교육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공식 발표를 계기로 좌우 이념 대결이 '한국사 전쟁'으로 번지고 있다.

교육계에서도 보수 성향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교총)가 국정화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힌 반면, 진보 성향 교육단체들이 국정화 반대를 위해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하는 등 갈등의 골이 깊어질 전망이다.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에 대한 찬반 입장 표명을 유보해 온 교총은 11일 국정화 찬성 의견을 공식화했다. 국내 최대 규모 교원단체인 교총은 전국 시'도 교총 회장 회의에서 이 같은 입장을 정리했다고 밝혔다.

교총은 "역사학적 관점이 아닌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미래 세대와 현 세대의 올바른 역사관 함양과 역사교과서 내용 정립을 위해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이종목(대구교대 교수) 대구 교총회장은 "성인들의 삐뚤어진 지식이 후손에게 전달되어서는 안 된다"면서 "야당에서는 유신이니 하면서 극한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이는 집필진의 구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해소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반해 진보 성향 교육단체들은 국정화 추진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고교'대학의 역사전공 교육자들도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높았다. 이들은 교과서 내용을 떠나 검인정 강화가 아닌 국정화가 시대에 역행하는 조치라고 지적하고 있다.

차경호(성산고 교사) 대구 역사교사연구회장은 "국정교과서는 정권에 따라 관점이 바뀔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윤재석 경북대 사학과 교수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시대착오적인 결정이다. 정부가 국정화를 반대하는 역사 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아 유감"이라며 "국정화는 헌법 정신에 어긋난다는 점에서 앞으로 학술단체나 교수, 교사 집단의 교과서 집필 거부나 국정화 채택 반대 운동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