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굳히기…당·정 공조체제 가동

입력 2015-10-09 01:00:06

與 특위 위원장 김을동·간사 강은희

역사 교과서 국정화 여부에 대한 정부 결정이 다음 주로 다가오면서, 역사 교과서 논쟁이 교육정책의 문제가 아니라 여와 야, 보수와 진보가 맞서는 정치 쟁점으로 떠올랐다.

새누리당은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전체가 일사불란하게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 필요성을 주장했다. 김 대표는 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주장에 호도된 역사교육의 정상화를 더는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대한민국 정통성을 격하하고 오히려 북한을 옹호하는 역사 서술이 만연한 상황에서 국사교과서 국정화는 국론 통일을 위한 국민 통합 역사교과서를 만들자는 취지"라고 강조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역사 교과서 문제에 당론과 당력을 집중했다. 최재천 정책위의장은 국감대책회의에서 "교과서 국정화는 시민교육이 아닌 신민교육"이라고 했고,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도 "역사를 재단해 군사정권 시절로 퇴행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야당의 공세 속에 정부와 새누리당은 국사교과서 국정화 작업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당정은 정부의 '역사교육 정상화' 방안 공식발표에 앞서 11일 회의를 열어 공조 방안을 협의한다.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지난 '교학사 사태'를 보면 좌파 진영이 교육 현장을 좌파 역사의 전시장, 정치 투쟁장으로 이용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며 "북한과 대립한 우리나라의 특수 상황을 고려할 때 역사 교육의 정상화는 대한민국 존립과 직결된다. 역사관 바로 세우기에 당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또 정책위 산하 역사교과서개선특별위원회를 공식 발족, 김을동 최고위원이 위원장을 맡고 강은희 의원이 간사를 맡아 이날 1차 회의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특위에는 김회선'박대출'박인숙'염동열 의원과 조전혁 전 의원, 전희경 자유경제원 사무총장, 조진형 자율교육학부모연대 대표 등 원외 인사가 참여했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8일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여부 결정 발표 일정과 관련, 국정감사가 끝나고 이른 시일 내 발표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황 부총리는 이날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감에서 교과서 국정화 계획에 대한 자료를 제출해 달라는 의원들의 질의에 "국감이 끝나면 조속한 시일 내에 구분고시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