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급식 비리, 서울 충암고뿐인가

입력 2015-10-09 01:00:06

급식 비리 의혹이 불거진 서울 충암중'고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서울시교육청의 감사 결과 이 학교 관계자들이 급식 관련 예산 4억1천여만원을 빼돌린 정황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조리원들에게 급식 배송을 맡기고도 용역업체가 배송한 것처럼 장부를 조작해 용역비를 허위 청구한 정황도 확인됐다. 그럼에도 학교재단인 충암재단이 '감사 결과가 사실과 다르다'며 반발하자 진상 확인에 나선 것이다.

서울시교육청의 감사 적발 내용을 보면 급식 비리 정도가 기가 막히다. 식용유 10통을 들여오면 4통은 먼저 빼돌리고 나머지를 갖고 튀김요리를 했다는 것이 관련자들의 진술이다. 적은 기름으로 튀김을 하다 보니 새카매질 때까지 반복해 썼다는 것이다. 이렇게 나쁜 기름에 튀긴 음식은 고스란히 학생들의 배 속으로 들어갔을 것이다. 그마저 조리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튀김요리 빈도 역시 잦았다고 한다. 급식실도 갖추지 않아 학생들은 교실에서 식사를 했다.

학교 급식 비리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급식 비리를 충암중'고만의 문제로 넘기기에는 석연찮은 점이 한둘이 아니다. 대구만 하더라도 지난 7월 폐기해야 할 달걀로 찜이나 계란말이 등을 만들어 학교에 무더기로 납품한 업자가 구속됐고, 지난해엔 수입 돼지고기의 원산지를 속여 학교 급식으로 납품한 업자 6명이 검찰에 적발된 바 있다. 충암고 사태 후 경남도는 식품비의 적절한 사용을 파악하기 위해 도내 150개 초'중'고교에 감사 자료를 요청했지만 경남도교육청은 급식 감사 거부 방침을 밝혔다. 경남도는 '감사 거부는 급식 비리 은폐로 간주, 고발한다'며 강경 대응을 시사하고 있다.

학교 급식의 질이 국가의 미래를 결정한다.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균형잡힌 건강식을 제공하는 것은 국가가 해야 할 일이요, 교육청이 할 일이며, 학교가 해야 할 일이다. 집단 급식을 한다고 해서 원산지를 속인다거나 불량 식품을 제공하는 등의 부정행위가 조금이라도 있어서는 안 된다. 학부모 입장에서 이번 충암중'고 사태는 비단 서울시교육청의 일만이 아니다. 지역에서도 급식 비리가 싹터 있는 것은 아닌지 급식 실태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