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친박-비박 '전략공천 공방' 소강 국면으로

입력 2015-10-07 01:00:09

공천특별기구 구성엔 물밑싸움 계속

차기 총선 공천권을 둘러싼 여권 내부의 갈등이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이 '100% 상향식 공천'에서 한발 물러나 '전략공천'(우선추천지역제도 언급) 여지를 남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측근 출마 최소화 방침으로 화답했기 때문이다.

다만, 실질적으로 공천 규칙을 논의할 '공천특별기구' 구성을 두고선 친박계와 비박계의 물밑 공방이 계속되고 있다. '공천특별기구'를 장악해야 앞으로 진행될 공천전쟁에서 '명분'과 '실리' 모두를 챙길 수 있는 탓이다.

친박계와 비박계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면으로 충돌했던 전날과 달리 6일 비교적 조용한 하루를 보냈다. '우선추천지역제도'의 성격과 적용방식을 두고 이견을 나타내긴 했지만, 상대를 자극하진 않았다. 비박계는 '우선추천지역제도'를 당헌'당규가 규정한 문구대로 엄격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반복한 반면 친박계는 '우선추천지역제도'가 전략공천으로 가는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양측은 '공천특별기구' 구성과 관련해선 한 치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태도다. '공천특별기구'에서 결정할 '공천 선거인단 구성 시 당원과 국민의 비율' 등이 공천결과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친박계는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높고 조직력이 앞서기 때문에 당원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친박계 홍문종 의원은 "기본적으로 당을 움직이는 것은 우리가 말하는 뱃사공이라고 할 수 있는 당원인데 이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비박계는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 드리기 위해 국민 참여 비율을 높이자고 주장하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공천특별기구에서 다룰 일"이라며 말을 아꼈다. 현재 새누리당 당헌'당규는 선거인단 구성 시 당원과 국민의 비율을 50대 50으로 규정하고 있다.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은 직접투표 또는 여론조사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정치권에선 '공천특별기구' 인선과정에서 양측의 갈등이 다시 폭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