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령화 사회 대비한 노인 일자리 창출 서둘러야

입력 2015-09-30 01:00:05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30%를 넘어섰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운데 고령자는 37만9천 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30.6%를 차지한 것이다. 우리 사회의 고령층 비중이 해마다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여왔지만, 기초생활 수급 고령자가 30%를 넘은 것은 처음이다. 노후 대비가 미흡한 가운데 고령 인구가 급증한 당연한 귀결이다.

문제는 노후 대비에 대한 걱정 때문에 일터로 나가는 고령층이 갈수록 늘고, 또 일하고 싶어하는 노인이 많다는 것이다. 55~79세의 연령층 인구 10명 중 6명은 더 일하기를 원하며, 사실상 65세 남짓한 노인은 '청년노인'이라 부를 정도로 육체적'정신적 건강성을 지니고 있는 현실이다. 대한노인회에서 노인 연령 기준을 기존 65세에서 70세로 높이자고 제안을 할 정도이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고용률도 매년 높아졌다. 근로를 원하는 이유를 보면, '생활비에 보탬이 되고 싶어서'가 57.0%로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이 있기 때문에'가 35.9%를 차지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포럼' 최신호에서 발표한 '노인의 경제활동 특성과 정책과제' 보고서에서도 이 같은 현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일터로 나갈 수밖에 없는 노인들이 많다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노인 열 명 중 세 명은 일을 하지 않으면 먹고살기가 힘든 상황인데, 일자리가 없는 것 또한 문제이다. 한국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4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노인복지 혜택을 확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노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대책일 것이다.

초고령화 사회를 앞둔 노인 일자리 제공은 어차피 당면 과제이다. 게다가 노인 빈곤율과 정부의 복지예산을 함께 줄일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다.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건강한 노후를 보장하고 노인의 연륜과 경력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것도 덤으로 얻을 수 있다. 지자체와 정부는 물론 각 기업도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추진과 지원에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