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30일 '공천 룰' 의총, 추석 민심 얼마나 반영될까

입력 2015-09-24 01:00:09

선거구 획정 해법 격론 예상

새누리당이 추석 직후인 30일 의원총회를 열어 내년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및 공천제도 등을 논의한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활동 상황 보고 및 토의'를 주제로 내건 만큼 이 자리에서는 최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선거구 획정과 당론으로 정했으나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 실현 여부 등 공천 룰과 관련한 의원들 간 격론이 벌어질 전망이다.

무엇보다 두 가지 주제 모두 내년 총선 향방을 가늠할 초미의 관심사이고, 추석 연휴 동안 청취한 '바닥 민심'을 반영하는 장(場)인 만큼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의총 분위기가 연출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의 발표 뒤 지역구'비례대표 의원 비율이 쟁점으로 떠오른 선거구 획정과 관련, 슬기로운 해법을 찾을지가 주목된다. 획정위가 선거구를 현행 246개에서 244∼249개 범위 내에서 결정키로 함에 따라 축소가 불가피하게 된 농어촌 지역 의원들의 거센 반발과 '특별선거구' 설치 요구 등은 지역 민심과 합쳐져 더 거세질 전망이다. 여기에는 통폐합 대상으로 거론된 의원들 간 이해관계도 얽혀 있어 의견 수렴 자체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정개특위는 이와 관련, 23일 선거구 획정 기준과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배분 등을 논의할 예정이었으나, 새누리당이 의총에서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키로 함에 따라 취소됐다. 만약 의총에서 뜻을 모으지 못한다면 정개특위 활동도 난항을 겪을 수 있다.

의총에선 새누리당이 당론으로 채택한 오픈프라이머리 등 공천제도도 의제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당내에서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의총 등을 통해 오픈프라이머리 노선을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아 '제3의 길' 모색에 시동이 걸릴 수 있다.

김무성 대표가 밀어붙이는 오픈프라이머리는 새정치민주연합의 공천 혁신안 통과로 애초 계획했던 여야 참여의 온전한 형태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당내 개선 목소리가 높아지자 오픈프라이머리에 강한 의지를 보였던 김 대표도 23일 "(오픈프라이머리가) 안 된다고 결정됐을 때는 당연히 당 의원들하고 최고위원회에서 상의해 또 새로운 길을 찾아야 한다"며 한발 물러서는 모습이다.

하지만 "아직은 그런 단계가 아니다"고 강조하며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원칙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고 또 여야 지도부의 담판이 시도될 가능성도 거론되는 만큼 의총에서 어떤 방향으로 결론이 날지는 미지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