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전 영업손실로 법인세가 면제된 이른바 '좀비 상장사'가 5년 만에 최대 규모로 늘었다. 장사해 번 돈으로 이자조차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는 상장사도 전체의 30%에 육박했다.
20일 재벌닷컴이 코스피(유가증권시장)'코스닥'코넥스 등 3개 주식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10∼2014년 개별기준 손익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세전 영업손실'을 낸 상장사는 541개사로 전체의 31.1%에 달했다. 2010년의 511개사(29.1%)보다 30개사가 늘었다.
지난해 영업손실(적자)을 낸 상장사도 전체의 23.4%인 406개사에 달했다. 이는 2010년의 311개사(17.7%)에 비해 95개사가 늘어난 것으로, 5년 새 비중은 5.7%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인 상장사도 519개사로 전체의 29.9%를 차지했다. 2010년 425개사(24.2%)보다 94개사가 증가한 것이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1배에 못 미친다는 것은 기업이 한 해 번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보다 적다는 뜻이다.
매출기준 상위 30대 상장사 중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인 곳은 한국가스공사(0.93배), S-Oil(-6.79배), 현대중공업(-22.43배), KT(-1.64배), 대한항공(0.91배) 등 5곳에 이른다.
금융 당국은 오는 11월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 가동 등을 통해 '좀비 기업'을 선별해 구조조정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