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동 고택·두류공원·수성못 등 대구 곳곳에 저항시인 이상화 詩
이상화(1901~1943)는 대구를 대표하는 시인이다. 그가 살았던 고택이 보존되고 있고, 그를 기념하는 사업회도 구성돼 그를 기리는 문학제를 매년 성대하게 열고 있다.
다른 향토 문학인들과 비교하면 이상화에 대한 대구 사람들의 관심은 꽤 높은 편이다. 왜일까. 이상화는 그냥 시인이 아니고 저항시인이다. 그 면모를 짙은 농도로 함축하고 있는 작품이 바로 저항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다. 이 시는 1926년 잡지 '개벽' 70호에 발표됐다. 이 작품 때문에 개벽은 판매금지 처분을 당했다. 개벽 70호는 현재 대구문학관에 가면 볼 수 있다.
그리고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대구의 골목길 곳곳에서도 만날 수 있다. 우선 중구 계산동 이상화 고택에 가면 시가 새겨진 시비가 있다. 시는 고택 옆 계산서원 주변 인도 바닥에도 새겨져 있다. 시비는 다른 곳에 더 있다. 두류공원 이상화 동상 옆에도, 수성못 상단공원에도 있다.
그런데 중구 태평네거리와 태평지하도 사이 서편 인도 구간 담벼락에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시 구절 일부가 그라피티로 그려져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시 구절이 글자라기보다는 각종 도형을 빌려 글씨체를 단순화한 그래픽으로 적혀 있어 쉽게 알아차릴 수 없다. 이 작품을 새긴 작가는 알 수 없다. 다만 그라피티 맨 끝에 있는 'MALEV'로 보이는 글자를, 그라피티 아티스트의 이름으로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이 밖에도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이상화 고택 앞 골목길에서 펼쳐지는 실경 연극을 포함해 대구 예술인들에 의해 다양한 장르 및 스타일로 오마쥬(헌정)되고 있다. 대구의 한 예술인은 "'빼앗긴 들'은 현재를 사는 사람들이 잃어버린 '활동 무대' '일터' '거리' 등의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여기에 작품 속 '봄'이라는 단어는 '자유'나 '활기' 등의 의미로 다시 끌어올 수 있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과거와 현재의 동시대성을 담을 수 있는 텍스트"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