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희생이었다면 이제부터 실리 찾아내자
경북 동해안은 원자력발전산업의 메카다. 좋게 말하자면 메카고, 나쁘게 말하는 사람들의 입을 빌리면 핵벨트에 꽁꽁 묶여 있다는 얘기다. 이런 가운데 지역민 중에서는 "기왕에 들어온 시설이라면 지역발전을 위한 지렛대로 삼자"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금까지가 희생이었다면 이제부터는 실리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오랫동안 참아온 경북 동해안
원자력발전소 운영에 대한 경북 동해안 주민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대한민국 전력산업도 없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경북 동해안 지역민들이 '원전안전운영' '주민건강확보' '병원'학교'원자력연구센터'해체산업 등 원자력 연관 산업 유치' '지역상생방안' 등을 요구하는 당당한 목소리는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간혹 원전을 운영하고 있는 지역에 대놓고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 몇 개 갖고 있다고 너무 (정부에) 바라는 거 아니냐'라는 수도권 사람들의 속없는 소리가 한 번씩 나오기도 한다. 그럴 때 '한강을 원자로 식히는 냉각수로 쓰면 되니까 그 옆에 턱 하니 지어놓고, 한번 운영 해봐라'라고 되받아치면 수도권 사람들은 머쓱해하며 입을 다문다. 누구나 자신들의 건강과 목숨이 귀한 것을 알기 때문이다.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약 40년 전인 1978년 원자력발전소(고리 1호기)가 처음 지어질 때는 '몰라서' 혹은 '정부가 하라고 하니까' 했다. 이제는 '이왕 원전사업을 시작한 거 이를 지역경제 발전으로 이어보자'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원자력산업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이 상당히 긍정적으로 변했다.
실제로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이 2013년 12월 24일~2014년 2월 14일까지 여론조사 전문업체인 한국갤럽에 의뢰해 실시한 원자력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만 19세 남녀 1천500명)결과에서도 76.5%가 전기 만드는 발전방식으로 원자력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60%가 원전안전에 대해 불안을 느꼈지만, 80%가 경제적 측면에서는 으뜸이라고 답했다.
원전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긍정적으로 변하자, 원전 운영 지역에서는 원자력 연구기관과 관련 학교, 폐로에 대비한 원자력해체센터 등 원자력 관련 산업 유치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다. 원전을 지을 예정이거나 이미 운영하고 있는데다 방폐장 등 혐오시설까지 받아준 지역에서 그에 상응하는 산업을 달라는 요구를 한다는 점에서, 정부 등도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에너지 메카로서의 위상 찾자
국내 원자력발전소는 총 23기로 세계 6위다. 단위면적당으로 보면 세계에서 가장 많다. 특히 국내 원전의 47%가 경북 동해안권(경주 5기'울진 6기)에 집중돼 있는 만큼, 경북도는 원전을 짓고 운영하고 해체하는 모든 과정을 하나로 묶은 산업이 발전하길 기대하고 있다.
또 울진(4기)'영덕(4기)'경주(1기) 등에 시험운전 중이거나 건설 추진 중인 원전이 모두 마무리되면 경북 동해안은 대한민국 전력을 책임지는 거대한 에너지 공급소가 될 전망이다. 또 최초 원자력발전소 고리 1호기를 비롯해 경북 동해안의 원전도 하나둘 영구정지를 앞두고 있다.
특히 경북 동해안은 중수로와 경수로 등 모든 원자로형을 갖고 있어 원자력산업 및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거점지역이다. 새롭게 지어야 할 원전을 비롯해 늘어나는 노후원전에 대한 사후처리, 원전폐기물처리 등 대한민국의 원전산업 대부분이 경북 동해안에서 이뤄지고 있다.
경북도 한 관계자는 "원전과 지역은 갈등과 상생을 반복하며 대한민국 에너지산업 발전을 이끌어왔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국민인식이 강화됐고, 정부 등에서도 원전정책에 있어 '안전'을 1순위로 적용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또 "지금 경북 동해안은 원전 한가운데에 놓여 있는 현실을 직시하고, 이를 새로운 산업 발전으로 이어갈 지혜를 짜내는 역량이 필요하다. 원자력 해체 산업 등 신성장 원자력 산업이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돼야 하는 이유가 충분한 만큼 각계의 관련산업 유치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