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한 교수가 17일 총장 직선제 폐지에 반발해 대학 본관 건물에서 투신해 숨졌다.
경찰에 따르면 부산대 국문과 A(54) 교수가 17일 오후 3시쯤 이 대학 본관 건물 4층에서 1층 현관으로 뛰어내렸다. A교수는 곧바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다.
A교수는 건물에서 뛰어내리기 전 "총장은 (총장 직선제 이행) 약속을 이행하라"고 외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투신 현장에 총장 직선제 이행을 촉구하는 A4 용지 2장짜리 유서를 남겼다.
A교수는 유서에서 "부산대학교가 교육부 방침대로 일종의 총장 간선제 수순 밟기에 들어갔다. 참담한 심정일 뿐이다"며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서는 오직 총장 직선제밖에 없다"고 했다.
A교수는 총장 간선제를 반대하는 이유로 경북대 등 간선제를 도입했다가 총장 부재 사태를 겪고 있는 국공립대 문제를 언급했다. 유서에 "현 상황에서 교육부의 방침대로 일종의 간선제로 총장 후보를 선출해서 올려도 시국선언 전력 등을 문제 삼아 여러 국공립대에서 올린 총장 후보를 총장으로 임용하지 않아 대학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일이 다반사"라고 썼다.
이와 관련해 부산대는 총장 직선제를 둘러싸고 심각한 내부 갈등을 빚고 있다. 대학 본부가 교육부 방침에 따라 간선제 방식에 의한 총장 선출을 추진하자 교수회는 대학본부 앞에서 단식농성에 들어가는 등 총장 직선제 유지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이명박정부 때부터 국립대 총장 간선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과열'혼탁선거 등 직선제 폐해에 따른 것으로, 부산대를 제외한 전국 모든 국립대가 직선제를 폐지했다. 경북대, 한국방송통신대, 공주대 등 3개 국공립대는 지난해 첫 간선제 총장 후보자를 선정했지만 교육부가 임용제청을 거부해 총장 부재 사태가 장기화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