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통일의 땅, 경북에서 통일 에너지 만들자

입력 2015-08-13 07:00:00

경북도가 경주시 주관으로 해마다 치르는 통일서원제의 국가 행사 격상 추진과 지방자치단체 차원에 맞는 통일분위기 확산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올해 광복 70주년을 맞아서 정부와 민간 차원의 통일에 대한 관심이 많고 통일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등 어느 때보다 통일에 대한 국민의 열망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통일서원제는 1979년 10월 7일 경주에서 처음 열렸다. 이날은 675년 신라가 20만 당(唐)나라 군대를 지금의 경기도 양주시 소재 매초성(買肖城) 전투에서 물리치고 승리해 통일의 결정적 승기를 마련한 날을 양력으로 환산한 날이다. 정부 장관급이 참석한 서원제는 1977년, 신라 삼국통일의 위업을 기리고 남북 분단을 극복해 통일을 이루자는 염원을 담은 통일전이 건립된 것을 계기로 마련됐다. 박정희 전 대통령도 첫 서원제 뒤인 10월 12일 통일전에 들렀다.

경주 남산 기슭에 세워진 통일전에는 신라가 첫 통일의 위업을 이루는데 주도적 역할을 한 세 영웅인 태종무열왕과 문무왕, 김유신 장군의 영정을 모시고 묘비도 세웠다. 1984년까지 정부 측 인사가 참석하다 1985년 이후 경주시 주관의 지역 행사로 지난해까지 36회 행사를 치르며 명맥만 이어왔다. 이에 경북도지사와 실국장급 이상 간부가 지난 7일 참배하고 국가 행사로의 격상 추진 등 통일사업 구상을 밝힌 것이다.

경북도는 다양한 구상을 '통일공감 프로젝트'에 담았다. 통일서원제 연계의 통일주간 설정, 통일원탁회의, 청소년화랑순례단과 한민족평화순례단 등 한민족 통일 순례길 개척, 삼국통일 역사 재조명 및 문무대왕릉 성역화 등이다. 남북교류기금 확대와 100인 네트워크 구축, 남북 독도'실크로드 파트너십 추진도 있다. 이런 사업 구상은 경북도가 적격이다. 사상 첫 통일을 이룬 땅, 경북에 어울리는 프로젝트이다. 통일 역사는 남북 분단 극복의 에너지임이 틀림없다.

경북을 남북 평화통일의 출발점으로 삼으려는 이번 구상의 실현에는 무엇보다 실천 의지의 담보가 필수다. 정부의 적극적 지원 역시 절대 필요하다. 첫발을 내디뎠지만 지자체의 역량만으로는 힘든 일이다. 하지만 어떤 일보다 의미 있다는 점을 새기면 길은 분명 나타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