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안동호 퇴적물에서 기준치가 넘는 비소와 카드뮴이 검출됐다. 안동대와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이 안동호 등 5곳의 퇴적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예안 부포리 선착장에서는 비소가 55.57㎎/㎏으로 토양오염 우려 기준치인 50.0㎎/㎏을 넘었다. 또 이곳과 와룡 오천리 군자마을에서는 카드뮴이 각각 10.61┸, 11.72┸이 검출돼 기준치인 10┸을 넘었다. 이에 대해 안동시의회 손광영 의원은 현재 한국광해관리공단이 실시 중인 '안동댐 상류지역 유실 광물찌꺼기 처리를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을 하류 10㎞ 지점인 예안 주진교까지 확대해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안동호 관리 책임 기관인 한국수자원공사는 자체 검사 결과 모두 기준치 이하로 검출됐다고 밝혔다.
안동호 오염 문제는 홍수 때마다 물고기가 떼죽음하는 현상과 관련해 오랫동안 논란이었다. 오염원으로는 상류인 봉화 석포 영풍제련소와 폐광 오염수가 지목되기도 했다. 2008년, 김광림 국회의원은 제련소 주변에 대한 조사와 함께 낙동강 상류에 쌓인 폐광 더미도 수거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종합적인 환경 역학조사를 해야 한다고 처음으로 국회에서 제기했다. 또 여러 환경단체에서도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했으나 7년이 지난 지금까지 어떤 변화도 없었다.
안동호는 낙동강과 직결한다. 이 물은 바로 1천300만 영남권 주민의 식수원이다. 그동안 수차례 오염 파문을 겪었으면서도 아직 낙동강과 상류원을 주먹구구식으로 관리한다는 것은 큰 문제다. 언제까지 식수 문제로 시도민이 불안에 떨어야 하는가? 이번에야말로 인체에 치명적인 비소와 카드뮴을 배출해 안동호를 오염시킨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 먼저 광범위한 역학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오염원으로 의심되는 제련소와 폐광을 철저하게 조사해 오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경북도 등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지역 국회의원도 적극적으로 동참해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식수원 오염이라는 끔찍한 재앙을 절대 반복해서는 안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