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에너지 寶庫 불 밝힌 경북] <10·끝>똑똑한 전력망, 스마트그리드

입력 2015-07-13 05:00:00

공급자-소비자 실시간 정보 교환…에너지 사용량 10% 절약

경상북도가 국책사업으로 경북도 내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에 착수했다. 우선적으로 안동
경상북도가 국책사업으로 경북도 내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에 착수했다. 우선적으로 안동'예천 신도시와 김천혁신도시에 스마트그리드 환경을 적용할 방침이다. 사진은 김천혁신도시 전경.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가 똑똑한 전력망인 스마트그리드를 도내 전역에 확산하겠다는 목표로 추진 중인 '경상북도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이 최근 정부 공모과제에 선정됐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조만간 총사업비 60억원을 들여 전력 재판매 서비스와 에너지소비 컨설팅 서비스 분야에 대한 시범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전력 재판매 서비스는 한국전력거래소(KPX) 전력시장에서 직접 구매한 전력을 다양한 요금제를 적용해 수용가에 재판매하는 서비스다. 에너지소비 컨설팅 서비스는 고객의 전력사용 패턴을 분석해 에너지소비 및 요금을 절감할 수 있도록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스마트그리드는 기존의 전력망(Grid)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 실시간 정보 교환으로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는 전력망 구성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스마트그리드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각각 10%씩 줄이고, 고용창출만 연간 1천683명에 이를 것으로 경북도는 내다보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로 똑똑해지는 경북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인 '스마트그리드'가 경북 전역에 본격 구축된다.

경상북도는 최근 정부가 공모한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중 전력 재판매 서비스와 에너지소비 컨설팅 서비스 분야에 선정돼 조만간 시범사업에 나설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은 앞으로 경북도 내 신도시, 학교, 발전소, 산업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전망이다.

경북도는 우선 안동'예천 도청이전 신도시와 김천혁신도시 등 신도시에 스마트그리드 환경을 적용하고, 지역 25개 대학에 경북형 그린캠퍼스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신도시와 각 대학에는 에너지관리시스템(BEMS)과 빌딩용 에너지저장장치(BESS) 등을 설치한다. 또 2만여 호 아파트에는 원격검진 인프라를 구축, 주민들의 전기사용 현황을 분석해 전기요금을 절약시켜 주는 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영덕 풍력 및 태양광발전소에는 대용량저장시스템을 구축해 신재생에너지 출력의 안정화를 꾀할 방침이다. 또 경북 각 지역 산업단지 내 에너지 다소비업체를 대상으로 공장용 에너지관리시스템(FESS)과 대용량 저장장치(ESS)를 설치해 기업 경쟁력 향상을 도울 계획이다.

스마트그리드를 활용한 전기차 이용 환경도 좋아진다. 경북 각 지역에 전기차용 급'완속 충전기 140여 개를 설치해 전기차 운전자들의 편의 증진은 물론 전기차 보급 확산에 기여하기로 한 것.

정부는 세계 최초로 국가단위 스마트그리드를 구축해 47조원 규모의 수입 대체 효과를 얻는다는 방침이다. 스마트그리드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추진되면 연간 5만 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74조원 규모의 내수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이 국가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3%(전기 10%)를 줄여 원전 7기(35조원 규모)를 건설하는 것과 맞먹는 효과를 내면 매년 반복되는 전력난 위기를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세계시장의 30%를 점유할 경우 49조원의 수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정부의 전망치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국가 에너지 안보 확보와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통한 전력난 극복 및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도록 경북을 스마트그리드 거점지역으로 만들겠다"며 "스마트그리드 관련 산업단지도 조성해 경북의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전력 부족 스마트그리드로 해결

매년 여름철만 되면 전력 공급량 부족 현상으로 전국이 몸살을 앓는다. 전력 공급량 부족은 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 발전하면서 전기에너지 소비가 급증했지만 발전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정부는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분산발전 시스템과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및 전기요금을 현실화하고, 사용량에 따른 전기요금제도를 전력 수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요금제도의 변화를 꼽고 있다. 결국 전력 부족 문제의 통합적인 해결책으로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한 지능화된 전력망인 스마트그리드를 내세우겠다는 것이다.

스마트그리드의 핵심은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 간에 실시간으로 전력정보를 주고받는 것이다.

경북도 김동성 청정에너지산업과장은 "전력 수요에 따라 전기요금이 변화할 때 수요자는 실시간 전기요금정보를 통해 전기요금이 비싼 피크 부하 시에 전기 사용량을 줄이고, 요금이 싼 시간대를 이용하는 합리적인 전기 소비가 가능해진다"면서 "전력 공급자도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 전력 사용이 적은 시간대에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전력 사용이 많은 시간대에 공급하는 탄력적인 운영도 가능하고, 과부하로 인한 전력망의 고장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그리드 시대에 도달하면 우리의 생활상에도 많은 변화가 생길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가정에서는 실시간으로 현재의 전기요금이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홈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사용해 전기요금이 싼 시간대에 전기에너지를 저장장치에 충전했다가 사용할 수 있고, 집에 설치된 태양전지를 통해 발전된 에너지를 충전했다가 전력회사에 재판매하는 시대가 열리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2030년 세계 최초 국가 단위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목표로 '스마트그리드 2030 국가 로드맵'을 확정하고, 5대 추진 분야를 선정해 연구개발에 나서고 있다.

경북도 김학홍 창조경제산업실장은 "국가 로드맵에 따라 스마트그리드가 구축되면 2030년까지 총 2억3천만t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와 함께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에 따른 약 47조원의 에너지 수입 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뿐 아니라 신규 발전소 건설을 위한 비용 3조2천억원도 절약할 수 있고, 스마트그리드 분야의 국제 경쟁력이 강화되면 약 49조원의 수출 증대 효과가 기대된다.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스마트그리드가 주목받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정욱진 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