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의 창] 원자력해체연구센터 경주가 대세다

입력 2015-07-08 05:00:00

한국수력원자력㈜이 최근 정부의 권고를 받아들여 오는 2017년 고리원전 1호기를 영구 운전정지하기로 결정했다. 정치적 논리에 밀렸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지만 어쨌든 이를 계기로 원전해체사업은 좀 더 빠른 현실로 다가오게 됐다.

문제는 경주와 함께 원자력해체연구센터를 유치하겠다는 부산시의 움직임이다. 부산시는 첫 영구 정지 원전이 있는 도시에서 해체산업을 키우는 것이 당연하다며 마치 기다렸다는 듯 원자력해체연구센터를 부산에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부산시가 고리 1호기 폐쇄에 앞장섰으니 '해제센터 유치'라는 대가를 달라는 것이다.

원자력해체연구센터는 원전해체기술 확보에 필요한 핵심 기술 및 인력 확보, 실험실에서 확보된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연구개발 시설이다. 정부는 2022년까지는 현재 미흡한 기술을 모두 확보하고 이 시설로 국내 원전해체는 물론 해외시장 진출의 기반까지 마련한다는 목표로 준비 중이다.

폐로 결정된 고리 1호기도 2017년 운전 종료 후 일러야 5~7년 후인 2023년쯤에야 해체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마저도 사용후 핵연료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처리 방안과 각종 인허가 등 법적 절차는 물론 주민 동의 등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를 가정한 시나리오다.

현재 원자력해체연구센터를 유치하겠다는 곳은 부산과 경북 두 곳이다. 경북의 경우, 후쿠시마 원전사고 여파로 모두 원자력을 기피할 때도 원자력산업의 가능성과 비전을 제시하며, 원자력산업 육성과 클러스터 조성을 일관되게 추진해 왔다.

원전해체산업도 이미 2012년부터 미래창조과학부 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해 왔고, 원전해체사업의 실무를 담당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는 한전KPS와도 2013년부터 원전해체사업 준비를 빈틈없이 해왔다. 한마디로 다른 지역이 기피하는 신규 원전 건설을 수용하며, 원자력을 배제할 수 없는 국가 에너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등 국가 정책에도 적극적으로 부응해 왔다.

한 꺼풀만 더 들춰 봐도 경북이야말로 원자력해체연구센터 입지의 최적 조건을 갖췄다는 것을 바로 알 수가 있다. 경북은 국내 원전의 최대 집적지로 전국 23개 가동 원전의 절반인 11기가 있으며 9기가 추가 건설될 예정이다.

또 원전해체 과정에서 발생되는 대부분 방사성폐기물을 처리하게 될 방폐장도 경주에 있으며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한수원, 한전기술, 한전KPS 등도 이 지역으로 이미 이전했거나 이전해 올 예정이다.

또 대구경북을 잇는 다양한 산학연 인프라는 원전해체기술연구의 충분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이처럼 경북은 해체기술의 산업화 효율성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그 어느 곳보다 적합한 조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한미원자력협정 체결, 공론화를 통한 사용후 핵연료 관리 방안 도출, 신규 원전의 건설, 그리고 경주 방폐장 준공 등 국가 원자력산업 동력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원자력해체연구센터 경주가 대세다.

경주 이채수 기자 csle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