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를 지키다' 잠시 머리를 식히느라 게임을 한다는 게 밤을 꼴딱 새우고 있네. 한 잔 걸치고 들어오신 아빠는 아들이 메르스를 악당으로 설정하고 퇴치 작전에 여념이 없는 그 깊은 충정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만 버럭 고함을 내지른다.
"이놈아 너 커서 뭐가 될래? 넌 꿈도 없느냐?" 이럴 때 뭐라고 대답을 하지, 이 나라의 집 대장이 술 드시고 올 때마다 겪게 되는 신참의 고충인지라 그럴듯한 답변을 해 드려야 하는 데 매번 실패하고 말았다. 그중에 '그냥요, 이렇게 살다가 죽을 건데요'는 최악이어서 한동안 스마트폰을 장식품으로 들고 다녀야 했다.
손가락은 여전히 부지런히 적군을 물리치는 데 사용하면서, 모처럼 아이는 자신 있게 대답한다. "아빠 같은 사람 될 거예요." 대장은 당황해 한다. 약간 취한 상태라 부하의 의중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빈정거리는 건지 칭찬하는 건지 구분도 못한 채 아무런 반응도 못하고 비틀거리며 물러선다.
'아빠는 꿈이 있어서 이렇게 사는가요? 멀쩡한 정신으로 들어오면 TV 앞에서 리모컨 미라로 변신하고 엄마하고 돈 얘기하다가는 먼 산이 되고 나에겐 공부, 공부 잔소리만 늘어놓는 좀벌레가 아빠의 꿈이었나요? 제발 이제 꿈 이야기 그만 하세요.' 이렇게 혼잣말을 늘어놓다 문득 아빠에게 미안해진다. 아빠가 불쌍하다.
'선생님, 나도 선생님처럼 교사가 될래요.' '너 몇 등이니? 꿈 깨라.' 고3 담임을 오랫동안 하면서 아이들에게 가장 많이 한 말이 '꿈 깨라'이었다며 눈물을 흘리시던 어느 선생님의 말처럼 도대체 꿈이란 게 성공하고 무엇이 되는 거라면 아이들에게 꿈을 꾸라고 하는 것은 폭력이지 않을까?
교사가 꿈이었던 분에게 교사가 되어서 행복하냐고 물었더니 하나도 행복하지 않다고, 자아실현은 퇴근 후 헬스클럽에서 한다고 썩은 미소를 날리신다. 아프니까 청춘이란 말씀 제발 하지 마시고 우리들에게 역할을 달라고 청춘들은 울부짖는데 잘난 놈만 눈에 띈다. 하긴 장년은 더 아프고, 아파도 아프단 말도 못하는 게 노인인데.
'의사가 될래(what)보다는 왜 의사가 되려고 하는지(why) 생각해 보면 좋지 않을까? 사람을 고치고 싶은 게 꿈이라면 꼭 의사가 아니어도 괜찮지 않을까? 요즘 잘 나가는 요섹남(요리하는 섹시한 남자) 어때? 음식으로 사람을 고치는 거지. 아니면 사람 마음을 달래주는 카운슬러도 괜찮고.'
꿈 고문 이제 그만하고 충분히 힘들어 하는 아이들을 있는 그대로 봐 주면 안 될까?
◆'나라를 지키다'=부모 말을 잘 듣지 않고 말썽을 많이 피우며 어디로 튈지 모르는 중2 때문에 북한군이 쳐들어오지 못한다는 우스갯소리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임.
간디교육문화센터 대표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