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금소마을 대마 수확 '한창'

입력 2015-06-29 05:00:00

재배 면적 12농가 1ha로 줄었지만 안동포 생산 위해 더위 속 구슬땀

안동포 주생산지인 안동 임하면 금소리 일대에는 대마(삼) 수확이 한창이다. 안동시 제공
안동포 주생산지인 안동 임하면 금소리 일대에는 대마(삼) 수확이 한창이다. 안동시 제공

오랜 가뭄과 연일 30℃를 넘나드는 무더위 속에 안동포 주생산지인 안동 임하면 금소리 일대에는 대마(삼) 수확이 한창이다. 3월 말 파종해 3개월여 동안 2m 이상 자란 대마는 이달 23일부터 수확이 시작됐고 1주일여 동안 농부들의 수작업이 이뤄지는 중이다.

대마는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 숙련된 농부들에 의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전통방식에 따라 재배되고 있다. 수확작업은 대마를 낫으로 한 번에 베어야 하기에 재배농가의 경험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대마(삼)는 베고 찌는 작업이 안동포 만들기 전 과정 중에서 가장 힘든 작업으로 파종과 함께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

대마를 원료로 한 안동포 제작은 경작과 수확→삼찌기→쪄낸 삼 말리기→껍질 벗기기→겉껍질 훑어내기→계추리바래기(햇볕활용 표백)→삼 째기→삼 삼기→베 날기→베 매기→베 짜기→빨래→상괴내기(색내기) 등 모든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작업 과정과 농촌의 노령화, 값싼 중국산 제품이 유입되면서 유통 및 판매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30㏊에 이르렀던 대마재배 면적이 올해 12농가 1㏊에도 못 미칠 정도다.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것.

안동시 관계자는 "안동포 재배농가는 명품 안동포 생산을 위해 기계화 사업을 추진하고, 대마를 원료로 하는 첨단 신소재 상품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며 "3대 문화권 사업의 하나인 '전통빛타래 길쌈마을' 조성사업이 마무리되면 안동포 전승과 함께 옛 명성을 되찾아 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안동 엄재진 기자 2000jin@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