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어도 일주일 전엔 공개했어야…"

입력 2015-06-08 05:00:00

"신고 체계 자리 잡힐 것"

정부가 7일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거나 방문한 병원을 공개한 가운데 환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큰 사람들의 신고 체계가 잡히게 됐다는 긍정적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해당 병원에서 치료 중인 중증 환자가 치료를 꺼리게 될 가능성도 커 해당 병원 경영에 큰 타격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의 피해 보상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김신우 경북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금은 감시망에서 벗어난 환자들이 바이러스 전파자가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병원 이름 공개로 입원력이 있거나 병문안을 갔거나 한 사람들이 즉각 신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국민들이 의심스러운 상황을 스스로 피하고, 자신이 얼마나 노출됐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공포감을 부추길 우려도 있지만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적절한 조치"라고 말했다.

보건의료노조 정재수 정책국장은 "초동 대응이 실패한 원인 중 가장 큰 부분이 병원 이름을 공개하지 않은 것인데 첫 환자 발생 이후 벌써 보름 이상 지났다"며 "적어도 지금보다 1주일 이상은 공개 시점이 빨랐어야 했다. 3차 환자가 발생하기 전에 대처했어야 했다"고 공개 시점을 아쉬워했다.

일부 병원이나 의료진 등 의료계에서는 병원명 공개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병원의 이름을 공개하면 해당 병원에 입원해 있던 중증 질환자가 치료를 꺼릴 수 있다는 것. 또 병원 입장에서는 메르스로 의심되는 환자를 피하지 않고 선의로 치료를 했지만 감염자가 발생하고 병원 이름이 공개되면서 경영상 타격을 입게 되는 피해를 볼 수 있다.

한 의료인은 "이런 식이면 중증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자신이 메르스 환자가 거쳐간 병원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치료를 받지 않고 다른 병원으로 옮기려는 상황이 발생해 적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의료인은 "병원에 따라서는 메르스로 의심될 만한 증상이 있으면 피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래도 이름이 공개된 병원은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한 곳"이라며 "피해를 보게된 의료기관에 대한 적절한 보상 방안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성현 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