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vs 친이 집안 싸움 본격화

입력 2015-06-04 05:00:00

국정 주도권, 총선 공천 다툼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이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이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청와대를 비판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친박(친 박근혜)계의 유승민 원내대표 체제 흔들기가 노골화하면서 당 내홍 사태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정가에서는 여권의 계파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것은 표면적으로는 시행령의 국회 수정권을 강화한 국회법 개정안 통과 때문이지만 국정 주도권 확보와 총선 공천 다툼이 깔려 있다고 분석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 마비가 우려된다며 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까지 시사하자 일제히 친박계 의원들의 성토가 시작됐다는 점에서 여권 내 주류와 비주류 간 헤게모니 쟁탈전의 시작이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청와대와 친박계로서는 오는 8월에 집권 반환점을 도는 만큼 후반기 국정운영의 주도권을 쥐고 핵심 과제를 추진하려면 이번을 계기로 비박계 주도의 당 운영에 변화를 줘야 한다고 판단했을 개연성이 강하다.

더 나아가 친박계 의원들로서는 내년 4월 총선을 겨냥해 비주류 대표 체제를 흔들어 공천 지분을 최대한 확보하려 한다는 해석도 있다.

친박계로서는 현 체제가 내년 총선까지 그대로 이어진다면 공천에 불이익을 당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이와 함께 유 원내대표에게 누적됐던 불만이 터진 측면도 있다. 유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표적 국정 기조인 '증세 없는 복지'를 정면으로 비판한 데 이어 지난 4월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업적을 평가하고 각종 정책현안에 대한 '좌클릭'(당의 노선을 중도'진보성향까지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주장하면서 주류의 심기를 거스른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친박이 공세를 펼치자 비주류가 이를 반박하면서 권력 다툼 양상도 더 짙어지고 있다. 친이(친 이명박)계 좌장이었던 이재오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국회법 개정안 통과시킬 때 의원총회에서 원내대표에게 권한을 위임했는데 그렇다면 공동 책임 아니냐"면서 "당내 불만이 있으면 사석에서 하면 되지 공개적으로 당직자를 그만두라고 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 초'재선의원 모임인 아침소리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정치권이 집안 싸움과 헤게모니 다툼에 몰두하고 있다"면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논란은 법과 제도의 문제이므로 정해진 법과 제도를 통해 냉정하고 차분하게 진행시켜야 한다"고 논쟁을 중단하고 제도적 절차에 따를 것을 촉구했다.

친박계는 사태 수습이 급선무라며 한발 물러서는 모양새를 갖췄지만 여전히 국회법 개정안의 위헌성을 강조하며 재반박하고 있다.

최두성 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