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첫 환자와 접촉 감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의심 증상을 보이던 50대 여성이 사망, 전국에 비상이 걸렸다. 숨진 여성이 첫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적이 있지만 그동안 확진 환자로 분류되지 않아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보건당국과 경찰에 따르면 경기도 한 병원에 입원 중이던 A(58'여) 씨가 1일 오후 6시쯤 숨졌다. A씨는 지난달 25일 급성호흡부전으로 이 병원 응급실로 이송돼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다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메르스 첫 환자와 접촉한 사실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당국은 A씨의 사망 원인이 메르스와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정밀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추가 사망자가 더 나올 수도 있다. 현재 확진 환자 18명 가운데 5명은 상태가 불안정한 상태다. 특히 6번째 환자 F(71) 씨는 인공투석과 기계호흡치료를 하고 있다.
메르스 의심 환자가 사망하고, 격리 대상도 급증하면서 메르스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메르스 확진 환자는 1일 기준으로 18명이다. 방역당국이 메르스 환자의 검사 범위를 넓혀 전면 재검사를 하면서 격리'관찰 대상자도 682명으로 늘었다. 지난달 30일 격리'관찰 대상자 129명과 비교하면 이틀 만에 5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 메르스에 감염된 상태로 중국으로 출장을 간 K씨의 행적에 대한 조사가 본격화되면 격리'관찰 대상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대구경북도 불안감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지난달 29일 경주에 메르스 확진 및 의심 환자 2명이 이송된 데 이어 지난달 30일 경기도 평택에서 메르스 환자와 간접 접촉한 30대 여성 2명이 음압격리실을 갖춘 대구의 한 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질병관리본부의 1차 검사와 지난달 31일 대구시보건환경연구원이 실시한 2차 검사에서 메르스 음성 판정을 받았다.
해당 병원에 메르스 환자가 입원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진료 예약을 취소하는 경우가 잇따르고, 입원 환자들도 불안감에 떨고 있다.
초기 방역에 완전 실패한 보건복지부는 법무부 출입국관리사무소와 격리 대상자 명단을 공유, 출국 자체를 막을 계획이지만 '뒷북 대책'이라는 불신을 부르고 있다. 정부는 격리로 생업을 중단해야 하는 이들에 대해서는 4인 가구 기준 월 110만원의 생계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장성현 기자 jackso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