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신임 국무총리 후보로 황교안 법무부 장관을 지명했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이완구 전 총리가 사퇴한 지 25일 만이다. 이로써 총리 장기공백 사태로 인한 국정운영 차질 문제는 해소됐지만 '수첩 인사'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임기 반환점을 3개월 앞두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황 후보자의 발탁은 이해되는 측면이 분명히 있다.
박 대통령이 강력하게 드라이브를 걸어온 공공'노동'교육'금융 등 4대 개혁은 실종될 위기에 처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공무원연금 개혁은 '맹탕 개혁'으로 추락했다. 노동 개혁도 노사정 간 합의 불발로 실종됐다. 정부가 독자적으로 추진한다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내년도 성장률이 2%대로 추락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경제 활력 저하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게다가 '성완종 파문'에 여권 핵심인사들이 연루돼 국정운영 동력도 많이 떨어져 있다.
이런 고비를 잘 넘기지 못하면 박 대통령의 임기 후반기는 '조기 레임덕'으로 직행한다. 황 후보자의 발탁은 이런 현실과 연관해서 봐야 한다. 황 후보자는 그동안 인사 요인이 있을 때마다 총리는 물론 대통령 비서실장 후보로 거론됐을 정도로 박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인물로 꼽혀왔다. 믿고 맡길 수 있는 인사를 기용해 국정 과제를 흔들림없이 추진하겠다는 것이 황 후보자의 발탁에 담긴 박 대통령의 뜻이라는 얘기다. 그런 점에서 황 후보자에게 주어진 임무는 예사롭지 않다. 지금의 위기를 잘 넘겨 추진 중인 국정 과제의 구체적인 성과를 내는 것은 물론 발탁의 주요 배경 중 하나인 부정부패 척결과 정치개혁도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야당과 잘 소통해야 한다. 그 첫 관문은 국회 인사청문회다. 새정치민주연합은 황 후보자 발탁을 '독선 인사' '공안통치의 노골적 선언'이라고 비판했다. 인사청문회가 쉽지 않은 과정일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황 후보자는 잘 준비해서 인사청문회에 임하고 야당도 자질과 능력, 도덕성을 철저히 검증하되 청문회가 소모적인 정쟁의 장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