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총리 후보자 앞에 놓인 5가지 숙제

입력 2015-05-22 05:37:53

비정상의 정상화 주력, 부정부패 척결, 고강도 정치개혁…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는 입장발표 기자회견을 통해 경제활성화와 민생 안정, 비정상의 정상화 등을 강조했다.

하지만 정치권에선 경제활성화와 민생 안정은 이전의 모든 총리가 강조해 온 내용인 만큼 황 후보자는 '비정상의 정상화'와 오히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곳에서 역점 과제를 찾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무조정실은 지난해 8월 국민 안전 확보 분야에서 150개를 '비정상의 정상화' 과제로 선정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부문 개혁에 주력할 가능성이 크다. 이 가운데는 ▷안전 사각지대 해소 ▷사업장의 유해위험 시설물 특별 관리 ▷복지 부정수급 근절 ▷공공부문 예산낭비 근절 ▷공공 비리 근절 ▷퇴직 공직자의 재취업 관행 개선 등이 포함돼 있다.

이완구 전 총리가 강조하다 덫(?)에 걸린 부정부패 척결은 물론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강조하는 고강도 정치개혁과 공공, 노동, 교육, 금융 등 공공부문 4대 구조 개혁도 황 후보자의 몫이다. 공무원연금 개혁은 여야가 오는 28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을 처리한다면 실행 차원에서 과제가 될 전망이다.

노사정 대타협이 결렬되면서 정부와 노동계의 대화 채널이 끊긴 노동시장 개혁은 청년고용 활성화와 통상임금 범위 명확화, 근로시간 단축 등 노사정이 공감대를 이룬 부분이 적지 않아 관계부처를 통해 쟁점이 없는 사항을 중심으로 입법화 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대(對) 국회 관계도 숙제다. 정치 경력이 없는 황 후보자가 그동안 일부 현안에서'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 여당과의 관계를 원활하게 설정할 수 있을지가 우선 관심사다. 국회의 협조 없이는 경제활성화 법안 등 법안 처리가 힘들고 국정동력이 약화될 수 있는 만큼 내각을 통할하는 위치에서'고도의 정치력'을 발휘해야만 한다. 박상전 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