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 속에서 물의 상태 변화 시 출입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사례를 많이 찾을 수 있다. 그중 한 가지 예를 들고, 그 예가 물의 어떤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지 쓰시오."
중학교 과학 '상태변화와 열에너지'와 관련한 서술형 평가 문항이다. 선택형 문항 중심 평가에서 서술형 평가로의 전환은 2010년 이후 활발히 논의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서술형 문항은 주어진 문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구성하고, 이를 글로 표현하는 문항 유형이다. 단편적 지식 암기를 지양하면서 학습자의 창의성, 표현력, 문제해결력 등 고등정신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9년 대구 남구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주관식과 객관식의 비율을 8대 2로 구성하면서 교과서가 아닌 수업 목표에 부합하는 다른 제시문을 활용하는 한편, 문제 해결 과정을 평가하여 부분 점수를 주는 등 서술형 문항 중심의 평가를 실시했다. 그랬더니 시험 점수가 곤두박질쳐 평균 점수가 60점대에 불과한 학년이 나올 정도였다. 평소 공부하는 것과 다른 걸 시험 쳤다는 학부모의 항의가 빗발쳤다. 이제까지 받아온 100점이 100점짜리 지식을 함양한 것이 아니라는 것, 교과서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료의 하나라는 것 등을 안내하는 학부모 연수가 끊임없이 열렸고, 제대로 문제를 출제하고, 제대로 평가하기 위한 교사 단위의 연구도 줄기차게 이어졌다. 학생들은 점차 답만 외우는 방식의 학습에서 학습 그 자체의 과정에 집중했고, 교사들 역시 수업에 대한 연구에 매진했다.
평가의 변화가 공교육의 질을 높이게 되면서 사교육 의존도를 떨어뜨리는 효과까지 얻었다.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결과 이 학교의 학생들이 매년 우수한 성과를 보인 것은 물론이다. 서술형 평가로의 전환이 교육개혁을 일으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012년 교육부의 서술형 평가 제안 이후 이미 많은 현장에서 서술형 평가가 도입되고 있다. 지난해 개교한 대구 새론초등학교처럼 100% 서술 및 논술형으로 학업성취도평가를 실시하는 곳도 생겼다. 평가 개발에 대한 교육청 단위의 연수 역시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으며, 참가 교사들의 관심도 뜨겁다. 올해 대구시교육청에서는 교사들이 서술형 평가 문항을 제대로 개발할 수 있도록 관련 매뉴얼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무리 좋은 방안이라 하더라도 평가의 영향이 지대한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상전벽해(桑田碧海)와 같이 평가 체제를 바꿀 수는 없는 게 사실이다. 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각종 여건도 고려해서 점진적으로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단순하게 암기하는 수동적인 형태의 학습에서 높은 성취를 얻는 학생들이 인정받는 교육 시스템이 정답이 아닌 것만은 확실하다. 지식정보화사회로 일컬어지는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그렇게 교육받은 아이들에게 어떤 활약을 기대할 수 있을까.
도원초교 교사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