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회전하는 대구 의료정보교류시스템 재점검해야

입력 2015-04-17 05:00:00

'세계물포럼 생수는 우리가 책임진다.' 제7차 세계물포럼이 대구'경북에서 열리고 있는 가운데 16일 대구 수성구 고산정수사업소 관계자들이 물포럼 기간 세계 각국 내빈들이 마실 달구벌 맑은 물을 점검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msnet.co.kr

대구시는 지난해 연말 전국 최초로 국제 표준 기반의 의료정보교류시스템을 시범 운영한다고 자랑스럽게 밝혔다. 의료정보교류시스템이란 대형병원과 협력병원이 진료 정보와 촬영 영상 등을 공유하는 것이다. 대구시는 경북대병원과 대구의료원을 중심으로 40개 협력 병의원이 의료정보교류 커뮤니티를 구성해 진료 의뢰와 각종 진단 정보를 온라인으로 교류하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대구시가 여러 병원으로 분산돼 있는 환자의 진료 정보를 온라인으로 관리하고 활용하는 의료정보시스템 운영에 들어간 것은 여러 가지 목적이다. 대형병원과 협력병원 간 환자의 병명과 주요 검사 결과, 진료 및 처방 내역 교류를 통해 의료 서비스를 개선하는 게 일차적인 취지이다. 나아가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환자의 수를 줄이고, 대구의 첨단의료복합단지를 활성화하면서 의료관광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같은 의료정보시스템이 본격 운영에 들어간 지 넉 달째가 되도록 아무런 실적이 없다. 잦은 시스템 오류로 아직 시작조차 못 한 병원이 많은가 하면, 실제 거리 등의 문제로 환자 교류 실적이 거의 없는 병원들을 무더기로 협력병원에 포함시킨 탓이다. 현장을 모른 채 정책만 시행한 탁상행정의 전형이다.

대구시가 39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의료정보시스템을 구축한 것은 대기 시간과 과잉 진료 및 중복 처방을 줄여 환자들의 불편과 의료 비용 부담을 덜기 위한 것이다. 또 환자 개인의 통합적 의료정보 공유와 활용으로 의료서비스의 전반적인 질적 향상을 꾀하려는 것이었다. 이같이 애써 마련한 의료정보시스템이 지금껏 공회전을 하고 있었으니, 수십억원의 세금만 축냈다는 비난이다.

그러잖아도 의료기관마다 산재한 의료정보시스템을 표준화해 정부 산하기관 간에도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작업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대구시는 헛바퀴만 도는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효율성 있는 체계를 다시 마련해 환자들의 불신을 줄이고 시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