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물포럼 17일 폐막…'물 문제 실행 로드맵' 발표
전 지구적 과제인 물 위기 진단과 해법을 찾는 '2015 대구경북 세계물포럼'이 엿새간의 일정을 마무리하고 17일 막을 내린다. 17일 폐막식에서는 물 문제 실행 로드맵인 '대구'경북 실행 확약'(Daegu&Gyeongbuk Implementation Commitment'DGIC)을 발표한다.
지난 12일부터 대구와 경주에서 진행된 이번 물포럼에는 각국 정상'국제기구 대표와 장'차관, 국회의원, 지방정부 대표, 글로벌 물기업 CEO, 물 분야 학자, 시민단체 관계자 등 160여 개국에서 2만5천여 명이 방문해 세계 각국에서 벌어지는 물 문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이번 물포럼은 3년마다 열리는 역대 행사 중 가장 많은 400여 개의 전문가 회의(세션)가 진행됐으며, '실행'을 핵심가치로 물 문제 해결 아이디어의 실천을 강조하고 '과학기술 과정'을 신설해 첨단 물 산업 기술을 선보이는 등 역대 물포럼과 차별화를 이뤘다는 평가다.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물 엑스포에는 39개국, 294개 기업'기관(한국 112개)이 참여해 물 기술의 눈부신 발전상을 선보였다.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 물포럼 개최국이 된 한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글로벌 물 산업에 뛰어드는 전기를 마련하게 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물포럼 개막식에서 "21세기는 물의 시대인 블루골드의 시대"라며 물 산업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가치를 공표했다.
물포럼 개최도시인 대구와 경북은 '물의 종주도시'로 자리매김하는 중대한 발판을 마련했다. 생소한 분야로 여겨졌던 물 산업에서 대구시와 경북도가 긴밀하게 협력해 국내 시장, 나아가 중국'중동'아프리카 등 해외 시장에서 주도권을 쥘 수 있는 디딤돌을 만들었다.
대구는 2017년 조성 예정인 국가물산업클러스터를 제대로 알리는 절호의 기회가 됐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글로벌 물 기업인 프랑스의 베올리아'수에즈, 덴마크 DHI 대표를 차례로 만나 물산업클러스터의 우수성을 알리고 물산업클러스터 유치를 포함한 포괄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특히 대구환경공단과 신천하수처리장, 문산정수장 등에는 중국'말레이시아'볼리비아'파라과이 등 외국 시찰단이 줄지어 방문해 물 처리 및 재이용 기술에 놀라움을 드러내며 합작'투자를 논의했다.
경북도 이번 물포럼을 안방에서 벌이는 '물 비즈니스'의 장으로 만들었다. 나이지리아와는 지하수 개발 참여, 중국과는 오수 처리 및 해수담수화, 프랑스와는 정수처리 합작 투자 등 의미 있는 성과를 일궈냈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경북의 멤브레인(수처리 필터) 산업이 이번 물포럼을 계기로 세계 물 시장 선점에 본격 나서게 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최병고 기자 c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