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게이트'를 두고 특검 도입에 대한 여야의 입장이 이전의 메가톤급 사안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국을 뒤흔드는 사건이 발생하면 야당은 어김없이 특별검사 도입을 요구했다. 통상 야당이 특검 발동을 요구하며 공세를 펴면, 여당은 검찰에 맡기자며 차단막을 치지만 이번에는 반대 양상이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성완종 리스트'가 공개되자마자 정국을 마비시킬 만한 '뇌관'으로 보고 특검 도입에 적극적인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선(先) 검찰수사 후(後) 특검' 도입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이전 사안과는 다른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진 것이다.
불과 2년 전 국가정보원의 대선 개입 의혹에서는 검찰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새누리당에 새정치민주연합은 검찰의 공정성을 믿을 수 없다며 특검을 요구하는 등 큰 이슈나 사건마다 야당이 먼저 특검을 요구해왔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검찰 수사로도 국민적 의혹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우리당이 먼저 특검을 요구하겠다. 국민이 요구한다면 특검을 피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예전에는 사건 초기에 특검은 여권에 '금기어'였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관계자는 이날 "지금은 특검을 말할 때가 아니다"며 "특검을 말하는 게 언뜻 선명해 보일 수 있지만 오히려 이는 새누리당에 면죄부를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양당 모두 철저한 진상 규명을 위한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지만 내년 총선을 앞두고 서로 셈법이 다르다. 새누리당은 검찰 수사를 생략하고 특검으로 정국을 전환해 정면 돌파 의지를 보이고, 동시에 최대한 시간을 단축하는 게 그나마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으로서는 '속도 조절'을 통해 공세를 최대한 길게 끌고 가 여당에 공세를 퍼붓는 것이 내년 총선에서 유리할 수 있다. 서상현 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