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으려 몸부림치는 대학
해마다 학령인구가 줄어들면서 37곳의 대학이 몰려 있는 경상북도에 비상이 걸렸다. 몇 년 안에 상당수 대학 캠퍼스가 텅텅 빌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당장 3년 뒤인 2018학년도 입시부터 대입 정원이 고졸자 수를 초과하는 대입 역전현상이 발생, 대학 건물의 대규모 공실(空室) 현상이 찾아올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경북도는 텅텅 비게 될 캠퍼스 공간 활용 방안에 대한 해법 마련에 나섰다. 학생들이 떠난 자리를 창업 공간으로 활용, 빈 건물을 줄이는 한편 청년실업률 해소도 이뤄내는 '두 마리 토끼 잡기' 전략이다.
◆짐싸는 대학들…동양대·대경대 제2 캠퍼스 이전 계획
경북도에 따르면 경산의 A대학은 올해 1학년 신입생이 330여 명뿐이다. 정원(1천 명)에 비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정원 수준에 맞춘 학교 공간은 33만여㎡(10만 평)에 이르지만 올해는 공간 대부분이 텅텅 비고 있다.
경북도 내 다른 대학들도 사정이 비슷하다.
영주의 동양대는 경기도 동두천시에 제2캠퍼스를 만들기로 했다. 2016년 3월 동두천시에 본교의 40%에 이르는 규모의 캠퍼스를 새로 열 계획이라는 것이다. 대학 측은 구조조정에서 살아남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자구책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모두 26개 학과에 4천600여 명 정원의 종합대학인 동양대는 지난해 37명, 올해는 112명이라는 첫 세 자릿수 신입생 미달 사태를 빚었다. 학령인구가 갈수록 줄어드는 마당에 신입생 확보 전쟁에서 지방대가 살아남기 힘들다고 판단, 수도권 이전을 결심한 것이다.
경산에 본교를 둔 대경대는 경기도 남양주에 제2캠퍼스를 마련, 내년 3월부터 신입생을 모집할 예정이다. ▷분장예술과 ▷뮤지컬과 ▷실용음악과 ▷모델과 등 4개 학과가 이전하며, 입학정원은 160명이다.
본교 입학정원이 1천800여 명(39개 학과)으로, 10%도 채 되지 않는 규모이지만 갈수록 제2캠퍼스에 무게중심이 실리면서 본교가 텅 비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을까 지역사회는 우려하고 있다.
2004년 가야대가 고령캠퍼스에서 경남 김해캠퍼스로 이전하고 11년이 지난 현재 고령지역 인구는 급격히 줄고, 지역 경제도 침체의 늪에 빠져드는 등 심각한 공동화 후유증을 겪고 있다.
1998년 3만8천420명이던 고령 인구는 가야대가 김해로 이전한 1년 만인 2005년 3만4천270여 명으로 줄었다. 상주인구의 10% 이상인 4천150여 명이 떠난 수치다. 학생들이 떠난 학교는 10년째 방치돼 황폐화됐고, 캠퍼스 주변도 황량해졌다.
◆구조조정 대안은…유휴캠퍼스를 창업공간으로 조성
경북도는 최근 경산의 A대학을 대상으로 '한국형 창업실리콘밸리 조성과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용역'을 발주했다. 1억3천200만원을 들여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산업연구원에 의뢰한 용역결과는 올 7월쯤 나올 예정이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기에 지방대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만큼 유휴 캠퍼스 공간을 창업 공간으로 바꾸는 데 국비를 투입하는 국책사업 모델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도는 용역결과 사업타당성이 높다고 나오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동안 총사업비 800억원(국비 500억원, 지방비 300억원)을 들여 A대학을 '한국형 창업실리콘밸리'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수립, 올 하반기 중앙정부 예비타당성조사 사업으로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학 구조조정에서 도내 다수의 대학이 퇴출당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비는 캠퍼스 부지를 국책사업으로 활용하는 사업을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경북도 내 대학은 37개, 대학교 시설로 지정된 면적은 1천609만여㎡에 이르고 있다. 이는 10년 전인 2004년 말 1천561만여㎡에 비해 47만여㎡ 나 늘어난 수치다.
경북도 김중권 일자리민생본부장은 "경산권 11개 연구기관 등 청년인력과 공단을 연계한 창조인력들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창업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대학 구조조정 대안으로 경산지역 대학을 활용한 창업공간 조성에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거나 아예 퇴출당하는 대학이 속출할 경우 노는 캠퍼스 공간이 많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 이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창업 공간을 조성하고 이를 일자리 창출로 이어 청년실업자 양산까지 막겠다는 것이다.
경북도 이인선 경제부지사는 "지역 대학이 무너지면 해당 지역의 공동화는 심각한 수준이 될 것이란 것은 고령 가야대만 봐도 잘 알 수 있다. 해당 대학에만 책임을 떠맡길 것이 아니라 정부가 국책사업으로 이들 캠퍼스 공간을 활용하는 다양한 사업들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한 시민단체는 "지방대 고사를 우려하는 것은 지방대가 단순히 대학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경제의 핵심이자 지역 발전의 동인이기 때문"이라며 "비어가는 대학을 살리는 일에 지자체는 물론 중앙정부도 나서야 하며 국회의원들은 관련 법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욱진 기자 penchok@msnet.co.kr
고령 전병용 기자 yong12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