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고 싶은 자
떠나게 하고
잠들고 싶은 자
잠들게 하고
그리고도 남는 시간은
침묵(沈默)할 것.
또는 꽃에 대하여
또는 하늘에 대하여
또는 무덤에 대하여
서둘지 말 것
침묵(沈默)할 것.
(…….)
쉽게 꿈꾸지 말고
쉽게 흐르지 말고
쉽게 꽃피지 말고
(…….)
가장 큰 하늘은 언제나
그대 등 뒤에 있다.(부분. 『풀잎』. 민음사. 1988)
시인이 자신의 시를 온전하게 이해하게 되는 순간은 아주 느리게 온다. 시인은 자신의 시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갓 태어난 시인의 시는 시인에게도 아주 낯선 존재. 시간이 지나면서 시인은 자신의 시를 이해하게 되고 그러면서 스스로를 조금씩 더 알아가게 된다. 20대의 강은교 시인이 이 시를 완전히 이해하고 썼다고 믿지는 않는다. 20대에 내가 읽은 이 시는 젊음과 역사의 우울에 대한, 달콤한 자기 위안의 사랑 노래였다. 그러나 다시 읽는 이 시는 삶에 대한, 사랑에 대한 비극적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 침묵은 비어 있는 휴식의 지점이 아니라 앞으로 나감을 예비하는 긴장의 지점. 사랑은 누군가를 떠나보내야 하고, 우리는 미래에 쉽게 다가갈 수 없고, 그렇지만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는 것. 우리의 등 뒤에는 가장 큰 하늘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의 삶이 비극적인 것은 그것이 언제나 우리의 등 뒤에 있다는 것. 사랑은 우리를 움직이게 하지만 그 사랑의 빛을 바라볼 눈은 우리에게 없는 것이다. '그것'은 항상 나보다 한 발짝 더 늦게 온다는 것. 그런데 그게 사랑이고, 우리의 사랑법이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