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도입 사업…업계 재전환 요구에 대구시 허용
대구시가 연료 다변화를 위해 도입한 택시 CNG(압축천연가스)개조사업이 오르내리는 유가에 따라 달았다 떼었다 하는 '혹' 신세가 됐다.
시는 택시업계의 요구에 따라 2012년 전국 최초로 LPG(액화석유가스)를 CNG로 바꾸는 사업을 시작, 택시 1대당 약 200만원을 지원해 모두 738대(15억8천만원 지원)의 택시를 CNG로 전환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LPG 가격 하락으로 CNG의 경쟁력이 떨어지자 택시업계는 다시 LPG 전환을 시에 요구했고, 시는 이달 초 'CNG 연료통의 적절한 보관 및 분기별 현황 통보' 등의 조건을 내걸고 택시업계 요구를 사실상 받아들였다. 이로써 CNG개조사업은 유가에 따라 오락가락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달 CNG(1㎥당) 가격은 918원으로 LPG(1ℓ당)의 821원보다 가격이 높다. 더구나 LPG에는 1ℓ당 221원의 유가보조금이 지원되기 때문에 실제 가격은 600원 수준에 불과하다. CNG의 연비가 LPG보다 20~30% 더 낫다는 점을 감안해도 LPG가 더 이득이 된다. 개조사업을 벌였던 2012년 5월에는 CNG(943원)가 LPG(1천187원)보다 경쟁력이 있었지만 지금은 상황이 역전된 것.
한 택시업체 관계자는 "택시 1대가 하루에 평균 40ℓ의 연료를 쓰는데 현재 유가와 유가보조금을 감안하면 LPG가 하루에 약 1만2천원 정도 이익이다"며 "이 때문에 30만~40만원을 들여 LPG 연료통을 달더라도 한 달이면 교체비용을 만회할 수 있다"고 했다.
대구시는 택시업계에서 LPG 전환을 요청해왔고 현실을 감안, CNG 연료통을 떼어내는 것을 용인하고 있다. 시 택시운영과 관계자는 "지난 3년간 CNG를 사용하며 아낀 유가보조금을 감안하면 수십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거두었다"며 "유가 변동으로 인해 필요할 때 다시 쓸 수 있도록 CNG 연료통을 잘 보관하고, 분기별로 교체 현황을 보고하도록 조치했다"고 했다.
서광호 기자 kozmo@msnet.co.kr
※CNG(Compressed Natural Gas'압축천연가스): 가정과 공장에서 사용하는 천연가스를 자동차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고압으로 압축한 것이다.
※LPG(Liquefied Petroleum Gas'액화석유가스): 유전에서 석유와 함께 가스를 상온에서 압축해 액체로 만든 연료다. 주로 자동차 연료와 난방'취사용으로 사용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